朴대통령 지지율 기초연금 파동 후 하락세… 직무수행 '긍정' 50%대
입력 2013-10-05 04:21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이후 국정운영 지지도에서 고공행진을 해왔으나 최근 기초연금 축소 발표 이후 주춤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 10명 중 8명은 기초연금을 소득과 연계해 선별적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 사퇴에 대해서는 부정적 여론이 긍정적인 평가보다 높았다.
한국갤럽이 지난 9월 30일∼10월 2일 전국 만 19세 이상 10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4일 발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 ±3.1% 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 평가는 56%, 부정 평가는 34%였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직무수행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4% 포인트 떨어져 추석 이후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긍정적인 평가 이유로는 대북·안보정책이 17%로 가장 높았고 여론에 끌려가지 않음·소신 있음(16%)과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2%), 외교·국제관계(9%) 순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공약 실천 미흡·공약에 대한 입장 바뀜(36%)이 가장 많이 지적됐고 그 외에 국민소통 미흡·너무 비공개·투명하지 않음(10%), 인사 잘못함·검증되지 않은 인사 등용(10%)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인사 문제에 대한 지적이 지난 주 2%에서 이번 주 10%로 8% 포인트 증가했다. 갤럽은 기초연금안과 관련한 진영 전 장관 사퇴, 혼외자식 의혹으로 인한 채동욱 전 검찰총장 사퇴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 취임 전인 올해 1월 넷째주와 기초연금 수정안 발표 이후인 10월 첫째주에 기초연금에 대한 동일한 질문을 던진 결과 1월에는 89%, 10월에는 82%가 선별 지급해야 한다고 답했다. 처음부터 우리 국민의 생각은 모든 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겠다는 박근혜정부의 공약 방향과 달랐던 것이다.
실제로 기초연금 수정안에 대한 찬성 여론이 62%로 부정 여론(26%)을 압도했다. 반대 의견은 30대(34%)와 40대(40%), 화이트칼라(38%)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로 미뤄볼 때 기초연금 수정안이 불러온 파장은 지급 범위 축소보다는 청장년 직장인 대부분이 가입하고 있는 국민연금 연계 방식, 공약 수정 과정상 합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갤럽 측은 설명했다.
기초연금안 수정과 관련해 청와대와 의견 차로 사퇴한 진 전 장관에 대해 46%는 좋지 않게 본다고 답했고, 좋게 본다는 의견은 28%에 불과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