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폐기 공방] 친노 “기초연금 덮으려는 꼼수”-새누리 “문재인, 책임지고 은퇴”
입력 2013-10-03 18:26 수정 2013-10-03 22:21
검찰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중간수사 발표를 두고 여야는 3일 격한 공방을 주고받았다. 민주당은 수사 발표 의도를 문제 삼았고, 새누리당은 역사 폐기라고 주장하면서 민주당 문재인 상임고문에 대한 공격에 초점을 맞췄다.
◇민주, “국면전환 꼼수” 반발=민주당 대통령기록물 열람위원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이 기습적으로 수사 과정을 공개한 것은 사건의 원인과 과정, 결과를 일관되게 밝혀야 하는 수사의 기본 원칙에서 벗어난 것으로 국면전환용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열람위원인 친노계 핵심 전해철 의원은 “검찰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했다. 실제로 소환 일정도 확정되고 일부는 조율 중에 있었다”며 “검찰 중간수사 발표 형식을 전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현 의원도 CBS라디오에 출연해 “검찰이 수사 결과를 갑자기 발표한 것은 기초연금이라는 아주 나쁜 악재를 덮기 위해 검찰이 또 한 번의 작전을 쓴 것”이라고 강조했다.
친노 진영에선 이번 논란이 2008년 검찰의 봉하마을 이지원 반출 수사와 유사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당시 이명박정부가 미국과의 성급한 쇠고기 협상으로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 갑자기 이지원 반출 사건이 터진 것처럼 이번에도 모종의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판단이다. 기초연금안 후퇴, 채동욱 전 검찰총장 사퇴 논란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도가 급락하자 급하게 대화록 사건을 꺼내들었다는 것이다. 김한길 대표는 대구에서 가진 지역 인사들과의 면담에서 “미묘한 시점에 검찰의 정상회담 대화록 수사에 대한 중간발표가 있었다”며 강한 의구심을 드러냈다.
◇새누리 “역사 폐기 고백해야”=새누리당은 “사초 실종이 아니라 폐기”라고 몰아붙였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노무현정부 청와대가 사초를 폐기하고, 개인적으로 빼돌렸다”며 “누가, 왜, 누구를 시켜서 역사를 폐기했는지 고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대화록) 원본은 삭제되고 수정본은 그대로 있다”며 “(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자존심이 깎이는 듯한 표현이 있어 수정을 했다고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이 당시 회담에서 비굴한 태도를 보였다’는 새누리당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한편 노무현정부의 마지막 행정자치부 장관이었던 박명재 전 장관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통령기록물은 생산 부서가 직접 국가기록원장에게 넘기도록 돼 있다”며 “그러나 당시 청와대는 이걸 넘기지 않고 봉하마을로 갖고 갔다. 유출에 반대했지만 청와대 측이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문 상임고문의 거취 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라디오에 나와 “(문 상임고문의) 대화록 관련 주장이 전부 허위로 밝혀졌다”며 “정식으로 국민들에게 백배사죄하고 정계에서 은퇴해야 한다”고 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