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외교 선점… 국내기업 진출 교두보 마련

입력 2013-10-03 18:19


시리아 경제재건 다룰 ‘국제회의’ 이달 말 서울서 개최

내전으로 황폐화된 시리아의 경제재건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국제 협의체 회의가 이르면 이달 말 서울에서 개최된다. 분쟁 후 인프라 복구 등 경제재건 협의를 위한 국제회의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글로벌 이슈에 적극 대응하자는 박근혜정부 대중동 외교의 출발점으로, 향후 시리아 재건을 위한 국내 기업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3일 “시리아 내전 종식 후 경제, 사회 인프라를 복구하는 국제사회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라며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10월 말 개최를 목표로 관련국들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시리아 반군 지원국 130여개 나라의 국제협의체인 ‘시리아국민 우방국회의(Friends of Syria)’ 산하 회의체로 공식 명칭은 ‘제3차 시리아 경제재건 워킹그룹 회의’다. 지난해 5월과 9월 독일 베를린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1∼2차 회의에 이어 1년여 만에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60여개국 정부 관계자와 유엔난민기구(UNHCR) 등 국제기구 관계자 등이 참가할 예정이다. 시리아 경제재건 워킹그룹 회의 공동의장국은 독일과 UAE로 우리나라는 의장국이 아닌 국가로는 처음 이번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의 핵심 의제는 시리아 지원 공여국 간 조율 문제, 경제개혁, 농업과 식량안보, 에너지, 식수 및 폐기물 관리 등 5개 분야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 의제 중 에너지 분야에서 프랑스와 함께 선도국가 역할을 맡아 에너지 지원 로드맵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3차 회의에선 시리아 경제지원 방안이 포괄적으로 거론된 기존 1∼2차 회의와 달리 분야별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본격 협의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회원국과 국제기구의 경제 전문가들이 모여 내전 종식 후 재개될 대규모 원조와 국가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인지 등을 상세히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열린 시리아국민 우방국회의에서 야권 세력인 ‘시리아국민연합’을 유일한 합법적 국민 대표로 승인하고, 현 사태의 인도적 해결을 위해 200만 달러를 지원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 개최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서 중요한 국제 이슈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나가는 과정”이라며 “중동 외교의 지평을 넓힌다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