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4개市 소각장 가동률 50% 불과…광역화 확대키로
입력 2013-10-03 15:36
[쿠키 사회] 경기도가 이웃하는 시·군이 소각장을 함께 쓰는 ‘광역소각’을 확대하기로 했다. 광역소각에 협조하지 않는 시·군에 대해 도비 지원을 줄이는 등 페널티를 주기로 했다.
3일 도에 따르면 양주·파주·군포·화성 등 4개 시의 소각장 가동률(쓰레기 반입량을 소각용량으로 나눈 값)은 50% 안팎에 불과하다.
하루 소각용량 200t의 소각장을 갖춘 양주시의 경우 실제 처리량은 90t에 그치고 있다. 같은 200t 소각용량의 파주와 군포시도 100∼110t만 처리하고 있고, 300t 소각용량의 화성시도 처리량은 절반인 150t에 머물고 있다.
반면 고양·부천·안성·평택 등 4개 시의 경우 소각장 가동률이 90%를 웃돌아 증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도는 이들 4개 시의 소각장을 새로 짓는 대신 여유가 있는 화성 등 4개 시의 소각장을 이용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럴 경우 고양 등 4개 시의 소각장 증설비용 1천400억원(도비 295억원 포함)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화성 등 4개 시 소각장의 연간 운영비 20억원도 추가로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광역소각은 소각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데 일부 시가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광역소각에 소극적어어서 도비 지원을 줄이는 등 페널티를 줄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광주·하남·여주·양평·이천 등 5개 시·군이 이천소각장에서 함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고 과천·의왕, 화성·오산, 양주·동두천, 구리·남양주, 광명·구로가 소각장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수원=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