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밀양 송전탑 공사 10월 2일 재개
입력 2013-10-01 18:14
주민 반대로 중단됐던 경남 밀양 765㎸ 송전탑 공사가 2일 전격 재개된다.
한국전력공사는 1일 서울 삼성동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 밀양시 단장·산외·상동·부북면 등 4곳의 송전선로 건설 공사를 2일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공사 재개가 내년 여름 전력난을 극복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신고리 원전 3·4호기의 전력을 영남 지역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송전탑 공사가 필수적이고, 일정상 더 이상 공사를 늦출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전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 변전소에 이르는 송전선로 약 90㎞ 구간에서 송전탑 161기 가운데 109기가 지어진 상태다. 한전은 공사 완료까지 8개월이 걸리므로 지금 시작해야 내년 신고리 3호기 상업운전 일정에 맞출 수 있다는 입장이다.
주민 설득을 위한 노력을 할 만큼 했다는 한전 입장도 공사 재개 결정에 반영됐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협의 대상 30개 마을 가운데 18곳에서 합의 내지 양해각서(MOU) 체결을 이끌어내 60%가 동의했다고 본다”면서 “하루 빨리 송전선로가 건설돼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도 이미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한전은 밀양 주민을 상대로 한 ‘호소문’에서 “더 충분한 이해를 구하고 여러분을 설득하지 못해 사과 말씀을 드린다”면서 “국가기반사업인 송전선로 공사가 지연되면서 전 국민이 큰 걱정을 하는 현재의 상태가 계속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 대다수 밀양 주민의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밀양 송전탑 문제는 2008년 7월 현지 주민들이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며 첫 궐기대회를 연 이후 지난 5년간 뜨거운 감자였다. 현 정부 들어서도 해결해야 할 대표적 갈등 과제로 꼽혔다.
주민과 한전이 수십 차례 대화를 했는데도 결론이 나지 않자 국회는 지난 5월 ‘전문가협의체’ 구성을 주선했다. 하지만 협의체에서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주민들은 765㎸ 고압 송전탑과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고강도의 전자파로 건강권을 침해받을 수 있다며 송전선로 지중화나 우회송전을 주장하고 있다. 한전은 전자파에 따른 암 발생은 근거가 희박하고, 주민이 원하는 대안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등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몸을 던져 공사를 막겠다는 입장이어서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 조 사장은 “공사 기간 주민 안전을 최우선한다는 원칙은 확고하다”며 “내부적으로 수립한 안전수칙에 따라 공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