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후임 총장, 검찰 개혁·안정에 적합한 인물로

입력 2013-09-30 18:05

蔡 전 총장 혼외 아들 논란은 반드시 규명돼야

‘혼외 아들’ 의혹으로 사표가 수리된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퇴임식을 갖고 검찰을 떠났다. 총장직에 오른 지 180일 만이며 지난 13일 사의를 표명한 때로부터 17일 만이다. 채 전 총장은 물러났지만 그로 인해 빚어졌던 일련의 사태에 대해서는 앞으로 진실 규명이 뒤따라야 마땅하다. 더불어 청와대와 법무부는 정밀 검증을 통해 두터운 신망에 결격사유가 없는 인물을 새로운 검찰 수장으로 하루 빨리 뽑아 검찰 조직을 안정시켜야 할 것이다.

채 전 총장은 30일 퇴임식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을 의식한 듯 “최고의 가장은 아니었지만 부끄럽지 않은 남편과 아빠로 살아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며 ‘혼외아들 의혹’이 사실무근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에둘러 표현했다. 이어 퇴임사와 별개로 발표문을 통해 “장기간의 소송 과정에서 초래될 고통과 피해로부터 가정을 지키기 위해 조선일보를 상대로 낸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취하하고 진실규명에 꼭 필요한 유전자 검사를 신속히 성사시킨 뒤 검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보다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혼외 아들 의혹이 불거진 이후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행보를 여러 차례 보였다. 초기에 사실 자체를 부인하면서도 ‘검찰 흔들기’만 내세우며 해당 언론사에 대해 법적조치를 취하지 않다가 뒤늦게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내는가 하면 아이의 엄마인 임모씨가 채 전 총장의 이름을 함부로 빌려 쓴 데 대해서도 대응을 하지 않아 의혹을 오히려 키웠다.

혼외 아들 여부는 유전자 검사를 통하면 금방 드러날 것이다. 본인이 직접 강력하게 천명했으니 조속히 검사를 받아 실체적 진실이 규명되기를 바란다. 개인과 가족을 넘어 이 문제는 검찰과 법무부, 야당과 청와대가 논란을 빚으며 범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던 사안인 만큼 ‘정의 회복’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이제 후임 검찰총장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다. 채 전 총장이 불과 6개월 만에 하차함으로써 위기를 맞은 검찰조직을 안정시키고 검찰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게 분명하다. 청와대와 법무부가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을 챙기려고 나선다면 여론의 역풍에 직면할 게 뻔하다. 연고나 이념을 떠나 검찰 조직 내에서 두루 신망이 높고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인물을 찾아내야 한다.

현재 후보로 사법연수원 14∼15기 출신이 다수 거론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들에게만 국한하지 말고 다방면의 인사들에 대해 폭넓은 스펙트럼으로 검증해 이른 시일 내에 추천해야 할 것이다. 추천과 법무부 장관의 제청,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대통령의 임명까지는 두 달 이상이 걸릴 수 있다. 늦어지면 올 연말까지 총장 공백상태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새로운 총장이 선임될 때까지 총장직을 대행하는 대검 차장을 중심으로 검찰 조직에 한 치의 빈틈이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검찰이 흔들리지 않아야 국민도 안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