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역세권 개발사업 8년 만에 사실상 무산

입력 2013-09-29 19:06

세 차례나 민간자본 유치에 실패한 충북 오송 KTX역세권 개발사업이 사실상 무산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충북도는 지난 27일 역세권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심의위원회를 열고 사업 계획서를 제출한 컨소시엄 두 곳에 대해 모두 사업 참여 자격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2005년 10월 오송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안이 나오면서 시작한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은 8년 만에 마침표를 찍게 될 처지에 놓였다. 오는 12월 29일까지 사업시행자 선정, 개발계획 수립·고시를 마치지 않을 경우 역세권 지구지정은 자동 해제된다.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은 64만9176㎡ 부지에 310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었다. 민간 사업자 공모는 이번이 세 번째다.

민자 유치 실패로 역세권 개발사업이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현지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자기 땅이 개발지역으로 지정됐던 탓에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하지 못해 큰 피해를 봤다며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다.

도의 입장은 단호하다. 전액 민자개발 방식의 2차례 공모 때 민간 사업자가 나서지 않아 부분 공영 개발 방식으로 전환했음에도 민자 유치가 무산된 상황에서 더는 내놓을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현재로선 개발지구가 해제된 후 소유 토지를 택지로 개발하는 환지 개발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환지 개발은 토지의 일부를 개발비로 부담해 택지를 개발, 판매한 뒤 수익을 토지 소유주들이 분배하는 방식이다.

환지 개발은 토지 소유주 70%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토지 소유주들이 조합을 결성, 자치단체와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소유주 중심의 환지 개발은 고가의 땅값이 발목을 잡고 있다. 인근에 위치한 세종시의 3.3㎡당 조성원가는 210만원 수준이었지만 역세권은 297만원에 달한다.

도 관계자는 “주민들이 환지 개발 신청을 하면 출연기관인 충북개발공사에 사업을 맡길 계획”이라며 “개발비를 토지 소유주들이 직접 대는 만큼 기반공사는 대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