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를 美실리콘밸리처럼”… 대전시 ‘혁신 클러스터’ 조성
입력 2013-09-26 21:41
대전시가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를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염홍철 시장은 26일 정례 기자브리핑에서 “대덕특구를 실리콘밸리와 같은 ‘혁신 클러스터’로 만들어야 대전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면서 “앞으로 이 사업을 정부의 ‘창조경제의 전진기지 구축사업’과 연계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기술사업화, 실리콘밸리와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역기업 진출 지원, 과학기술 기반의 창업문화 확산 등 창조경제 생태계 저변 조성 등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먼저 지난 3일 출범한 ‘대전지역발전협의회’(위원장 강성모 KAIST 총장)를 중심으로 지역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 협의회에는 미래창조과학부, 대전시, KAIST,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시는 실리콘밸리에 대전사무소를 설치·운영하고 미국 산호세시 및 산호세 주립대와 연계해 지역기업의 실리콘밸리 진출을 적극 돕기로 했다.
지역 대학생과 실리콘밸리 종사자간 멘토링 시스템이 운영되고, 실리콘밸리에서 운영 중인 ‘테크숍’의 대전 설치도 추진된다.
이밖에 창조경제 생태계 저변 확산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과학기술 기반 창업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대덕특구 창조경제 박람회가 개최된다.
염 시장은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 논란에 대해 “언론에서 ‘들쭉날쭉’ 등 부정적인 표현을 쓰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며 “노면전철(트램)과 지상고가(자기부상열차) 방식의 장단점을 꼼꼼히 따져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