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박근혜 정부, 최윤희 대장 내정

입력 2013-09-25 18:27


軍도 ‘비정상의 정상화’ 합참의장에 첫 해군출신

예상치 못한 ‘파격’이다. 25일 단행된 박근혜정부의 첫 군 수뇌부 인사에서 최윤희(59·해사31기·사진) 해군참모총장이 1948년 창군 이래 처음으로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내정됐다.

이양호 공군참모총장이 1993∼94년 합참의장직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지난 50년간(1963년 합참 발족) 합참의장은 육군이 독식해 왔다. 한반도 군사작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육군이 수행한다는 게 명분이었다. 육·해·공군 균형 발전을 위해 해·공군에서도 합참의장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높은 육군의 벽을 좀처럼 넘지 못했다.

그래서 최 내정자 발탁은 변화된 안보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육·해·공군 합동성 강화와 3군의 균형 발전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군의 창조적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의도도 있다.

북한의 도발은 1998년 제1차 연평해전을 비롯해 서해 북방한계선(NLL), 서북도서에 집중돼 왔다. 그만큼 해군 작전의 중요성이 높아졌지만 육군 출신 합참의장이 지휘해 온 합참 수뇌부는 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2010년 발생한 천안함 폭침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수뇌부는 해군 작전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혼선을 빚기도 했다.

1988년 만들어진 국방개혁 ‘818계획’은 육·해·공군의 균형 발전을 위해 합참 장교 구성을 ‘2대 1대 1’ 비율로 하도록 했다. 하지만 주요 보직은 여전히 육군이 차지하고 있어 합동성, 균형 발전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최 내정자 지명은 특정 군에 편중돼 온 비정상적인 상황을 정상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안보실장을 비롯해 국가정보원장, 국방부 장관까지 모두 육군 출신으로 구성된 현 정부 안보라인에 변화를 주겠다는 계산도 엿보인다.

경기도 화성 출신인 최 내정자는 해군 작전사령부 작전처장과 제5전단장,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정책뿐 아니라 작전 분야에서도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고 조직 장악력이 뛰어나다. 육·공군 수뇌부의 신망도 두텁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