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수탈·개발 병존” 논란

입력 2013-09-25 18:12 수정 2013-09-25 10:10

국사편찬위원인 허동현 경희대 한국현대사연구원장은 25일 “(일제시대에) 수탈과 개발이 병존했다”고 말했다. 허 원장은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주도하는 국회의원 모임 ‘근현대사 연구교실’에 초청 받아 ‘일제강점시기 역사교과서 서술의 쟁점과 문제’를 주제로 강연하면서 일제시대를 기술한 교과서에서 가장 중요한 논점의 차이는 국사학계의 ‘수탈론’과 이에 상반되는 ‘경제성장사’라고 소개했다.

허 원장은 수탈론에 대해 “일제라는 드라큘라에 물려서 피를 빨렸고 그것을 떼기 위해 독립투쟁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경제성장사는 “국내총생산(GDP)을 보니 성장이 있었고, 피만 빨린 게 아니라 영생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토지조사는 피를 빨린 게 맞지만 등기제도, 소유권에 대한 일물일주(一物一主), 사유권 확립으로 자본주의가 싹틀 수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일제강점기가 ‘수탈’이라는 부정적인 영향 외에 ‘경제성장’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허 원장은 “일본의 과거사 왜곡에 분개하는 것은 전체주의”라면서 “비교사적 관점에서 공과 과를 분명히 밝히고 잘못된 것은 짚어야 하지만 자긍심을 가질 부분은 하이라이트를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동우 기자



허동현 교수 관련 정정 및 반론 보도

본보는 지난 9월 25일자 정치면 [“일제시대 수탈·개발 병존” 논란] 제하의 기사에서 국사편찬위원인 허동현 경희대 한국현대사연구원장이 한 강연에서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수탈이라는 부정적인 영향 외에 경제성장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는 취지의 주장을 편 것처럼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허 원장은 일제시대에 수탈과 개발이 병존했다는 경제성장사학자들의 주장을 소개한 것일 뿐, 경제성장만을 근대화의 지표로 삼아 일제가 근대화 즉 발전의 주체로 서술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한편 허 원장은 당시 강의에서 식민지근대화의 결과물이 모두 북한에 있는데다, 남한에 남아있는 시설은 6·25전쟁으로 모두 파괴돼 1970년대 산업화의 토대가 될 수 없음을 들어 식민지근대화론의 논거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했던 것이라고 밝혀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