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회담 회의록 못찾은 채 9월말 열람 종료할 듯
입력 2013-09-23 18:04 수정 2013-09-23 22:38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그동안 국가기록원 기록물 열람 작업을 했으나 현재까지 회의록을 찾지 못한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검찰은 회의록이 보관됐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기록물 대부분을 열람했지만 존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다만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남은 기록물을 모두 열람한 후 존재 여부에 대한 최종 결론을 낼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 (기록물을) 완전히 다 보진 않았지만 나름 분석이 많이 이뤄졌고, 현재까지 진행된 데 대한 결과도 있다”며 “(수사가) 11월까지 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달 16일부터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대통령기록물 관리시스템 팜스(PAMS)에 보관된 18만여건의 자료와 봉하마을로 이관됐던 참여정부 청와대 문서관리 시스템 이지원(e-知園) 사본, 백업용 이지원 사본인 나스(NAS), 자료이관에 사용된 외장 하드디스크 97개, 서고에 보관된 문서자료 등을 열람했다. 검찰은 이미 서고 자료 열람을 마무리하고 암호가 걸린 외장 하드디스크 등도 상당부분 분석을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회의록이 없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참여정부 고위 인사의 폐기 의혹 등 회의록이 사라진 구체적인 사유와 경위에 대해 수사할 계획이다.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생산 및 보관·이관 작업에 관여했던 참여정부 핵심 인사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본격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참여정부 인사 등) 사람을 불러 조사할 시기가 왔다”며 “소환에 응하지 않을 경우 논란과 오해를 살 수 있어 협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