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교계 방북 요청 2번 거부 왜… 교계, 정부 설득 주력

입력 2013-09-23 17:17

교계가 지난달과 이달 중 계획했던 방북이 통일부의 승인을 받지 못해 연이어 무산됐다. 통일부는 민간단체의 사업협의는 문서나 제3국에서 해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23일 복수의 교계기관에 따르면 기장과 예장통합 등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주요 교단 임원들은 지난 11일 평양을 방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조그련) 등을 만나 평화열차 및 평화협정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방북을 신청했으나 불허됐다.

통일부 관계자는 “(평화열차)사업 협의는 문서나 제3국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중국 등 제3국에서 할 것을 권장했다”고 말했다. 평화열차의 북한 경유 여부에 대해 이 관계자는 “정부는 비군사적 사회문화교류는 허용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며 “북한에서 나온 반응을 토대로 당시의 남북관계 등을 고려해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교계는 이같은 통일부의 입장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배태진 기장 총무는 “평화열차의 북한 통과를 위해서는 조그련 뿐 아니라 북측 유관기관들과 협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3국에서는 이들을 다 만나기 어렵다”며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평화열차가 남북관계 개선에 있어 좋은 명분이 될 수 있음에도 방북을 승인하지 않은 처사를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NCCK 화해통일위원장 조헌정 목사(향린교회)는 “이런 상황이면 평화열차의 북한 통과는 물론이고, WCC(세계교회협의회) 부산 총회에서 남북교회가 만나는 것도 어렵지 않겠느냐”며 “다른 나라에서 총회를 할 때도 서로 만나는데, 한반도에서 열린 총회에서 서로 만날 수 있을지 고민하는 현실을 세계교회가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교계는 남은 기간 정부를 설득하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조 목사는 “통일부 청사 앞에서 기도회를 해서라도 알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일단은 정부를 설득하는 데 최선을 다하는 수밖에 없다”면서도 “합법적인 선 안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답답하다”고 말했다. 배 총무는 “제3국에서의 만남을 포함한 모든 방법을 강구해 평화열차의 북한 경유를 성사시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