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민심 분석] 원내투쟁에 무게실은 민주, 명분·방식 고심
입력 2013-09-22 18:01
‘대통령과 여야 대표 3자 회담’ 직후 전면적인 장외투쟁까지 거론했던 민주당이 결국 원내·외 병행투쟁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23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최종 방향을 확정할 예정이지만 이전보다 원내투쟁에 무게를 두는 것이 기정사실화되는 모양새다.
김한길 대표는 22일 “우리 당이 앞으로 갈 바에 대해서 연휴 동안에도 천막을 찾아주신 여러 의원님들과 많은 말씀을 나눴다. 대체로 원내·외 병행투쟁을 강화해야 한다는 말씀에는 일치하는 것 같다”며 “대통령의 불통 정치가 확인된 이상 원내·외 투쟁 양쪽을 다 강화해야 한다는 말씀도 많았다”고 말했다. 정기국회 보이콧 등 전면적인 장외투쟁보다 지금까지 해온 원내·외 병행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도 “각론에 있어선 의원들마다 생각의 차이가 조금씩 있는 것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대표가 의원들을 두루 만나서 의견을 수렴한 결과, 국회에 등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대통령이 야당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등원해야 할지 명분을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원내 투쟁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기자간담회에서 “최종적 피리어드(마침표)는 국회에서 찍는 것이다. 국회는 야당을 위해 하는 것”이라며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여당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다. 우리가 안 들어가면 단독국회 명분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서 “국회 내에서 어떻게 활동할지에 대한 분명한 대응이 있어야 한다”(김성주 의원), “장외투쟁뿐만 아니라 국회 내에서도 국정원 개혁이나 민생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키포인트”(정호준 의원) 등 원내 투쟁에 대한 요구가 다수였다.
이에 따라 의총에서는 원내·외 투쟁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두고 격론이 예상된다. 원내 투쟁에 집중할 경우 자칫 50일을 넘긴 장외투쟁이 흐지부지될 것이라는 우려도 벌써부터 나온다. 정기국회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원외투쟁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도 마땅치 않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