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독일 BEE 하인리히-랄베스 유럽 및 국제문제 부문 대변인
입력 2013-09-22 16:56 수정 2013-09-22 18:21
“재생에너지 생산·소비 활성화 법적 장치 중요”
“신재생에너지가 뿌리내리기 위해선 안정적인 법과 원칙이 중요합니다.”
독일 재생에너지협회(BEE) 라이너 하인리히-랄베스(사진) 유럽 및 국제문제 부문 대변인은 지난 1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세부적인 조건은 나라마다 다르겠지만 재생에너지를 활성화한다는 분명한 정치적 목표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법적 테두리를 형성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EE는 독일 내 25개 재생에너지 협회가 소속된 단체로 정부에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정책을 제안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는 독일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기후나 환경을 보존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장 먼저 꼽았다. 하인리히-랄베스 대변인은 “국민들은 화석에너지가 환경이나 인체의 건강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고민을 오래전부터 해왔다. 원전을 반대하는 여론도 90% 이상”이라면서 “덕분에 일찍부터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여론은 의회에서 수렴 과정을 통해 2000년 재생에너지법(EEG)이 탄생하는 결정적인 배경이 됐다. 그는 “EEG는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을 강제로 구매하게 하는 등 재생에너지를 우선으로 활용하는 방향을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다.
하인리히-랄베스 대변인은 “현재 독일은 모든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면서 “특히 풍력과 태양광이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강조했다.
독일재생에너지통계위원회(AGEE-stat)에 따르면 지난해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기 생산량은 136.1TWh로 그중 33.8%인 46TWh가 풍력발전으로 만들어졌다. 독일의 풍력,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은 유럽연합(EU) 내에서 가장 높다.
하인리히-랄베스 대변인은 “국민들 사이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는 당연한 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면서 “재생에너지법이 본래 가치를 잃지 않으면서 개정돼 나간다면 정부의 예상보다 재생에너지 사용이 더 빨리 확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베를린=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