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터질때마다 “총기 규제”… 이번엔 잘될까
입력 2013-09-17 15:54
미국의 심장부나 다름없는 워싱턴DC의 해군 복합단지에서 16일(현지시간)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으로 최소 1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의회에서 총기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했던 총기규제 대책이 상원에서 좌절됐던 적이 있어 이번에는 어떻게 추진될지 관심사다.
오바마 대통령은 사건 발생 뒤 백악관에서 행한 연설에 앞서 “아직도 우리는 이런 총기사건을 국가의 심장인 워싱턴의 군 시설에서 겪어야 하는가”라며 “철저한 조사를 통해 책임자를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런 일이 벌어지기 때문에 백악관이 총기규제를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소속인 다이안 페인슈타인 상원 안보위원장도 “총기사건이 얼마나 더 있어야 총기규제를 하기에 충분하겠느냐”며 “의회는 책임 회피를 멈추고 즉각 미국에서 벌어지는 총기폭력에 대한 신중한 토론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 의회는 지난 4월 총기 구매자에 대한 예외 없는 신원·전과 조회를 포함해 민주·공화 양당이 초당적으로 ‘맨신-투미’ 타협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당시 법안은 미국인 10명 중 9명이 찬성할 정도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공화당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여기에 반자동 소총 등 공격무지 금지 법안과 10발 이상 대용량 탄창 금지법안도 모두 의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부끄러운 결정”이라며 규탄성명까지 냈다.
전방위적 로비로 총기규제 법안을 저지한 미국총기협회(NRA)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아무런 성명도 내지 않았다고 워싱턴타임스는 보도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