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파문] 檢 “지켜보자” 진정… 채총장측 “연휴 끝나면 소송 접수”
입력 2013-09-17 14:54 수정 2013-09-17 20:48
박근혜 대통령의 ‘교통정리’에 따라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파동은 일단 관망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법무부는 진상규명을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고, 채 총장의 사퇴 초기 반발 기류를 보이던 검찰 내 움직임도 잦아들었다.
◇검찰 “지켜보자”=검찰은 길태기 대검 차장검사 주재로 17일 대검 간부회의를 열었다. 길 차장은 회의에서 “중요한 시기에는 검찰 직원의 작은 실수도 조직 전체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다”며 “업무와 생활 모든 면에서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외부의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언행에 신중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추석 연휴 직전 간부회의를 개최해 내부 단속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검 간부는 “상황이 혼란스러워 입장을 밝히기 곤란하다”며 “당분간 지켜보는 게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임명권자인 박 대통령이 상황정리를 한 마당에 검찰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다. 채 총장에게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서울의 한 부장검사는 “혼외아들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더라도 총장 복직은 사실상 힘들다”며 “그렇다면 채 총장을 두 번 죽이지 말고 사표는 수리하되 진상규명은 채 총장에게 맡기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법무부 본격 진상규명 준비=법무부 관계자는 “황교안 장관이 진상규명을 지시했던 13일부터 준비작업을 시작했다”며 “추석연휴 이후 진상규명 작업이 속도를 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현재 법무부는 안장근 감찰관을 중심으로 채 총장 혼외아들 의혹의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다만 법무부가 본격적인 감찰에 착수하려면 장관 자문기구인 ‘법무부 감찰위원회’를 소집해 감찰 안건을 논의해야 하며, 소집 7일 전까지는 위원들에게 일시, 장소, 토의 안건을 알려야 한다. 추석연휴 직후인 23일에 소집을 통지하더라도 실질적인 감찰은 다음달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 검사 이뤄질까=채 총장에 대한 감찰이 이뤄지더라도 분명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다. 결국 여러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자 조사를 통해 혼외아들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 하지만 혼외아들로 보도된 채모군과 채 총장의 유전자 검사가 필수적인데, 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뾰족한 수가 없다. 채 총장은 ‘감찰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으며 내연녀로 지목된 A씨가 감찰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가능성도 낮다.
채 총장 측은 이날 “소송 준비를 마무리 중”이라며 “추석 연휴가 끝나는 대로 접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채 총장은 의혹을 보도한 조선일보를 상대로 이른 시일 내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소송 제기가 늦어지면서 ‘진상 규명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여론이 일었고, 채 총장도 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남도영 문동성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