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손’ 3자회담 이후] “자꾸 이러면 金대표 국회복귀 못할 것”… 野탓 돌리는 새누리
입력 2013-09-17 14:29
새누리당 지도부는 3자 회담 결렬의 책임을 민주당 탓으로 돌리며 공세를 퍼부었다. 민주당이 ‘김한길 체제’로는 국회 복귀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독설까지 쏟아냈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자꾸 이런 식으로 나오면 김 대표는 당 대표직을 달고 다시 국회로 못 돌아온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박근혜 대통령의 공직수행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이 70%를 넘는 상황에서 민주당의 장외투쟁은 도가 지나치다는 분석을 덧붙였다.
홍 총장은 “(김 대표가) 정답이 하나도 없다고 했는데, 오답이 하나도 없었다”며 박 대통령을 편든 뒤 김 대표를 향해선 “대통령이 아니었던 상황에서 벌어진 일을 자꾸 개입했다고 (인정)하라고 했다. 결례”라고 지적했다.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박 대통령의 회담 발언에서 국회 정상화의 길을 찾자는 쪽이 주류였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가정보원 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확실한 의지도 천명됐고, 경제민주화와 복지 문제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을 확실히 밝히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를 겨냥해 “민주주의의 위기라니 어안이 벙벙하다. 오히려 국회의 위기”라고 했다. 이혜훈 최고위원도 “정치의 근본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민생”이라며 “이유가 무엇이든 정기국회와 예산 처리를 정상화하고 자신들의 주장을 펼쳐야 한다”고 비판했다.
황우여 대표는 국회 정보위원회 주도로 국정원을 개혁하고 채동욱 검찰총장이 직접 해명하면 총장직을 계속 수행하게 할 것이라는 박 대통령의 언급을 자세히 설명했다. 쟁점이 된 의제에 대해 박 대통령이 야당의 주장을 상당 부분 수용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당내에는 회담 결렬이 경색정국의 장기화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기류가 존재한다. 청와대의 강경일변도 행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고위 당직자는 “채 총장에 대한 감찰 지시를 꼭 회담 성사 전에 했어야 했느냐”며 “대통령 주변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정무적인 실수가 나온다”고 꼬집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