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추석 민심’ 어디로… 野 국회복귀·朴 국정 수정 갈림길

입력 2013-09-17 14:38 수정 2013-09-17 14:39

3자 회담을 계기로 오히려 더 멀어진 여야는 18일부터 시작되는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첫 추석 연휴를 주목하고 있다. 정치권의 극한 대립을 생생하게 목도한 민심이 추석 밥상머리에서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정국의 향배도 180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추석 연휴는 매년 정기국회 기간 초반과 겹치면서 정국의 분수령 역할을 해왔다. 특히 올해는 박근혜 대통령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함께 만난 3자 회담에서 각종 현안에 대해 사사건건 격론을 벌인 직후 연휴가 시작된다. ‘대국민 공개 토론회’ 수준으로 양측 발언이 상세하게 공개됐고, 그 속에 타협의 여지는 일절 보이지 않았다.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가족들을 뜨겁게 달굴 이슈들이 즐비하다는 얘기다.

여야가 추석 민심을 파악할 가시적인 바로미터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 추이다. 연휴 이후에도 최근 고공행진 추세를 이어간다면 정국파행의 화살이 야당한테 돌아갔다는 의미다. ‘민주주의 실종’을 외치는 목소리가 공감을 얻지 못한 반면 민생에 집중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메시지가 호응을 얻은 셈이 된다. 이 경우 국가정보원 개혁을 요구하는 장외투쟁 동력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야당 내에서도 국회로 전면 복귀하고 정기국회를 정상화하자는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이 추진하려는 ‘세일즈 외교’와 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 정책이 탄력을 받게 된다.

반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가 꺾이고 하락세로 접어든 양상이 나타난다면 민심이 야당 편으로 돌아섰다는 얘기가 된다. 박 대통령이 3자 회담에서 보여준 모습이 아집과 불통(不通)으로 평가된 결과로 정국 파행의 책임이 대통령과 여권에 있다는 ‘심판’이나 다름없게 된다. 국정원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 요구가 힘을 받고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수정론이 부상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활성화보다는 경제민주화에 집중하자는 여론도 번질 것으로 관측된다.

남은 가능성은 대통령 지지율 변동이 판단하기 애매모호한 수준으로 미미하게 변동하는 경우다. 이미 국정원 문제는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1순위로 자리 잡은 상태고, 높은 지지율은 정국 파행과 무관한 대북·외교 성과 때문이라는 각종 여론조사가 이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지지율이 크게 바뀔 여지가 없다는 얘기로 여야 대치상황이 고착화되는 경우의 수다. 대통령은 대통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마이 웨이’를 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