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파문] 靑 “언론 보도 이후 감찰 나섰다”
입력 2013-09-16 22:24
청와대는 16일 민주당 박지원 의원이 제기한 ‘채동욱 검찰총장 찍어내기’ 시나리오 가동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민정수석실에 확인해보니 박 의원이 채 총장 파일을 민정비서관에게 전달했고 한 달간 사찰했다고 주장한 내용이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곽상도 전 민정수석에게서 이중희 민정비서관이 파일을 인계받은 것도 전혀 없다”고 말했다. 또 “이 비서관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과 전화통화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도 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의 채 총장 감찰에 대해서도 “채 총장 관련 의혹이 보도된 이후 이 사안이 총장 개인뿐 아니라 검찰의 명예와 신뢰에 관한 것이라고 판단해 대통령비서실 운영 등에 관한 규정 제3조(특별감찰반에 대한 규정)에 따라 적법한 특별감찰 활동의 일환으로 착수한 것”이라고 적극 해명했다. 박 의원이 주장한 것처럼 채 총장의 ‘혼외아들’ 의혹이 보도된 이전이 아니라 보도 이후 감찰에 나섰다는 것이다.
채 총장이 “공안2부장에 대한 감찰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고 밝히자 사태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박 의원이 주장한 내용을) 채 총장이 직접 부인했다. 바로 이것이 현주소다. 채 총장 발표로 이 문제는 일단락된 것 아닌가”라고 했다.
박 대통령도 국회 사랑재에서 진행된 여야 대표와의 3자 회담에서 채 총장에 대한 사전 사찰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직접 언급했다.
이처럼 청와대가 채 총장 사퇴 압력설에 연일 적극 해명을 하고 나선 것은 야당 공세와 검찰 내부 반발을 진정시키지 않으면 이번 사안이 국정원 개혁 문제보다 더 큰 정치적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박 의원 주장을 그대로 내버려두면 ‘혼외 아들’ 문제가 불거지기도 전에 채 총장을 물러나게 하기 위해 개인 비리를 추적했다는 의미가 되고, 국정원 댓글 의혹사건 처리를 둘러싼 채 총장과의 갈등설과 검찰수장 교체설 등이 ‘팩트’로 굳어질 수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