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파문] “우리도 착잡… 좀 더 지켜보자” 검사들 집단반발 주춤, 관망세 반전

입력 2013-09-16 18:10 수정 2013-09-16 22:27

채동욱 검찰총장이 사의를 밝힌 뒤 집단 반발 움직임을 보이던 일선 검사들이 평검사회의 등을 유보하고 관망세로 돌아섰다. 16일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일선 검사들의 움직임이 가늠될 분수령이었지만 검사들 사이에선 “경과를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우세했다.

지난 주말 열려다 유보됐던 평검사회의는 이날도 열리지 않았다. 평검사회의 개최 움직임이 있었던 서울중앙지검, 서울북부지검, 수원지검, 부산지검 등은 관망하는 분위기가 이어졌다. 대검의 한 과장급 검사는 “청와대 발표 이후 상황을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검사들 사이에서 우세하다”며 “우선 진상이 규명되고 난 후에야 입장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진상규명 과정에서 채 총장의 혼외아들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집단 반발 명분이 사라질 것을 우려한다는 얘기다. 검찰 내부 게시판 이프로스에 올라온 글 중 일부도 이런 점을 지적했다.

한 검사는 “‘이번 사건은 공직기강의 문제’라는 일부 지적에 동의한다”며 “총장에 대한 의혹들은 명명백백히 규명돼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진상규명이 우선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에 참여했던 서울중앙지검의 한 검사는 “진실규명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며 제기된 의혹을 정리하기도 했다. 이 검사는 이프로스에 올린 글에서 이번 사태를 ‘검찰총장의 혼외자녀 의혹’과 ‘검찰수사 외압 및 검찰총장 음해 의혹’의 두 갈래로 나눠 정리했다. 그는 채 총장이 받고 있는 의혹에 대해 “검찰총장의 윤리성이 흔들리면 검찰의 모든 결정이 의심받을 수 있다”며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검찰수사 외압과 총장 음해 의혹에 대해서는 “국정원 사건 수사 당시 민정수석은 수사 지휘 라인에 있는 간부에게 전화를 걸어 선거법 위반 기소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피력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검찰 중립성 확보를 위해 이에 대해서도 역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찰 일선에서는 한때 채 총장이 김광수 부장검사에 대한 감찰을 지시했다는 보도로 술렁이기도 했다. 서울중앙지검의 한 부장검사는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하루빨리 진상이 규명되는 수밖에 없다”며 “불법사찰에 대한 진상도 확실히 파악해 책임자 처벌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의 한 검사장은 “말하기도 싫다. 상황이 검찰 내부 분열 양상으로까지 번지는 듯해서 착잡하다”며 “우리도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건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