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사퇴 후폭풍] 김한길 대표, 3자회담 수용… 거부보다 ‘담판’ 선택

입력 2013-09-15 18:00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당내 일각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16일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담에 참석하겠다고 밝힌 것은 ‘거부해서 비난받기보다는 만나서 싸우는 게 더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황이 이러하니 박 대통령이 야당 주장을 더 수용해 달라’는 촉구성 메시지이기도 하다.

김 대표의 회담 참석 여부가 논란이 된 것은 지난 13일 오후 채동욱 검찰총장이 법무부의 감찰 방침으로 사퇴하면서부터다.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 문제를 다루기 위해 3자 회담을 요구했는데, 그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의 수장을 청와대가 사퇴시켰다는 판단에서다. 당내 강경파와 일부 중진 의원들이 “이런 상황에서 3자 회담이 의미가 있겠느냐”는 목소리를 전달했고 일선 검사들 사이에서도 반발 움직임이 커지면서 지도부도 ‘참석 재고’ 쪽으로 급선회하기 시작했다.

특히 14일 오후 4시 국회 본관 2층 민주당 대표실에서 열린 김 대표와 노웅래 비서실장,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 등 핵심 측근들만 모인 비공개 대책회의에서도 “신중하게 불참도 고려해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김 대표가 당내 여론 수렴에 본격 착수했고 참석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해 결국 15일 정오 최고위원 및 중진의원 연석회의까지 소집됐다.

연석회의 역시 찬반 의견이 엇비슷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중진 의원들 다수가 민감해서인지 다들 ‘전언’을 빌려 ‘이런 상황에서 참석해서 뭘 얻겠느냐는 여론이 많다’라는 식으로 반대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핵심 측근은 “연석회의 참석자들에선 반대 의견이 많았지만 회의에 불참해 김 대표가 직접 전화로 접촉한 중진 의원들까지 합한 찬반 의견은 6대 4 정도로 참석하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주말 사이 민주당의 이런 움직임은 회담에서 더 많은 것을 얻어내야겠다는 포석으로도 해석된다. 특히 회담의 성과물이 많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서 ‘채동욱 의제’를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과 재차 연계시켜 박 대통령이 국정원 문제에 대해 어떻게든 언급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기 위한 측면도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회담이 도중에 파행되거나 성과가 거의 없을 것에 대비해 미리부터 ‘경고’를 한 측면도 있다. 김 대표가 서울시청 앞 기자회견 끝맺음말로 “모든 양심있는 국민과 함께 범국민적 행동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 것도 ‘회담 이후’를 대비한 언급이라고 한다.

손병호 정건희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