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문 커지는 ‘아베 거짓말’… 야당 “국제적 신용 잃을 것”

입력 2013-09-15 17:39 수정 2013-09-15 22:55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고 있는 오염수를 통제하고 있다고 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발언이 거센 후폭풍을 낳고 있다. 도쿄전력 관계자가 이를 부정한 데다 언론과 야당에서도 회의적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유출에 따른 해양오염 조사 지점을 대폭 늘리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연대도 강화하는 등 신뢰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15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문제의 발단은 지난 7일 아베 총리가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오염수 문제에 대해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말한 데서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야마시타 가즈히코 도쿄전력 연구원이 13일 오염수 문제와 관련, “지금 상태는 컨트롤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아베 총리의 발언을 뒤집었다. 파문이 확산되자 도쿄전력은 곧바로 정부와 도쿄전력의 입장이 일치한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불안감은 계속됐다.

특히 야당인 민주당과 사민당 등은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해 “국제적인 신용을 잃을 것”이라며 다음달 소집될 임시국회에서 정치쟁점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아사히신문 역시 14일 아베 총리의 오염수 관련 발언이 도전받고 있다면서 “방사성 물질 봉쇄라는 측면에서 보면 오염수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교도통신이 14∼15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4.4%가 아베 총리의 ‘오염수 통제’ 발언을 신뢰할 수 없다고 답했다.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은 28.3%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방사능 오염수 해양 유출에 따른 오염 실태 파악을 위해 현재 약 200곳인 조사 지점을 3000배가량 늘린 60만곳까지 확대키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이 서둘러 해양오염 실태 조사를 강화하는 것은 한국이 후쿠시마를 비롯한 8개현의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등 국제사회의 불안감이 확산되자 정부 차원의 신뢰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야마모토 이치타 과학기술담당상은 1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IAEA 총회에서 “오염수의 영향은 후쿠시마 원전 항만 0.3㎢ 이내에 국한돼 있으며 현재로서는 항만 밖에는 방사선량의 현저한 증가는 없다”고 밝힐 예정이라고 NHK가 15일 보도했다.

일본의 신뢰 회복 노력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원전 관측용 우물 지하수에서는 트리튬(삼중수소) 농도가 5일 사이 약 36배나 급상승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