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자 회담, 국민 위한 추석선물 되기를

입력 2013-09-15 17:33

경청과 허심탄회한 대화로 국정 정상화 물꼬 터야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3자 회담이 16일 열린다. 우여곡절 끝에 어렵게 성사된 회담인 만큼 국정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의견들이 오가고 정국이 정상화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회담이 열리기까지 형식 문제 등으로 줄다리기를 하며 지나치게 시간을 끈 점은 아쉽다. 하지만 당사자들이 막바지에 보인 인내와 포용의 노력은 평가할 만하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일 5자 회담 고수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3자 회담 형식을 받아들인 것은 정치 파행을 방관할 수 없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장단 회동과 병행해 3자 회담이 열리고 장소도 청와대가 아닌 국회인 점 등에 대해 불만이 있을 터인데,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수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회담 직전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가 불거졌지만 김 대표가 회담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도 정파의 이익보다 국민을 바라보고 정치를 하겠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회담에서는 국정원 댓글 사건 및 국정원 개혁, 보름 가까이 마비상태인 정기국회, 내년도 예산안과 각종 민생 법률안 처리 문제 등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의제가 됐건 박 대통령은 야당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반대 의견을 귀담아 듣는 것은 정치 지도자가 가져야 할 중요한 덕목이다. 껄끄럽고 혹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더라도 틀리지 않았다면 야당의 요구를 흔쾌히 수용하는 것이 국민을 위한 길이다.

김 대표는 국정에 대한 견해를 기탄없이 피력하되 절제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 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선 불복과 같은 강경 목소리를 되뇌는 것은 정국을 푸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회담 이후에는 정기국회 복귀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야당에 만족스러운 결과가 도출된 전례는 거의 없다. 회담 후 노골적으로 불만을 토로한 야당 대표도 있었다. 하지만 회담 후 소소한 성과에 연연하지 말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국면 전환을 모색하는 게 보다 현명할 수 있다.

국정원 댓글 사태는 국민의 관심이 쏠려있는 사안이다. 박 대통령은 국정원의 정치 및 선거 개입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잘못된 관행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개혁이 필요하다는 대원칙을 국민 앞에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잘못된 행태에 대해 포괄적인 유감을 표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회담이 국정원 문제를 매듭짓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채동욱 검찰총장 문제는 당면 현안이다. 박 대통령이 이번 사안에 대해 어떻게 보고 있는지 등은 국민이 궁금해하는 부분이다.

경제민주화 관련 입법이나 세수 확보 방안, 예산 용처 등을 놓고는 의견이 엇갈릴 수 있다. 하지만 민생에 여야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추석을 앞둔 국민들에게 선물이 될 것이다. 회담에서 복지와 증세 문제 등에 접점을 찾지 못하더라도 대척 지점을 분명히 할 수 있다면 이 역시 진전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