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화학무기금지협약 전격 가입

입력 2013-09-13 18:10 수정 2013-09-14 00:57

미국과 러시아가 시리아 화학무기 사태와 관련한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간 가운데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전격 가입, 화학무기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 시리아 사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크지만 외교적 해결 가능성에 한층 무게를 싣는 조치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바샤르 자파리 유엔 주재 시리아 대사는 12일(현지시간) 시리아가 이날자로 CWC의 회원국이 됐다고 밝혔다. 자파리 대사는 이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가입 문서를 제출했다며 이에 앞서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시리아가 협약에 가입한다는 것을 공표하며 의회 법령에 서명했다고 덧붙였다.

1997년 발효된 CWC는 화학무기의 개발과 제조, 저장 및 사용을 금지하는 국제협약으로, 협약 가입국은 소유하는 화학무기를 신고하고 비축한 화학무기를 폐기해야 한다.

한국과 미국 등 189개국이 가입했으며 시리아의 가입으로 북한과 이집트, 앙골라, 남수단 등 4개국이 미가입국으로 남게 됐다.

반 총장은 이날 시리아의 CWC 가입문서 제출을 확인하며 시리아의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파르한 하크 유엔 대변인은 “반 총장은 시리아 정부로부터 알 아사드 대통령이 CWC 가입에 관한 법령에 서명했다는 것을 알리는 편지를 받았다. 시리아 정부는 협정 발효 전이라도 협약이 부과한 의무를 이행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전날에 이어 13일에도 시리아 사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중재안을 놓고 협상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화학무기 폐기 방법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미국 뉴욕에서 다시 만나 협의하기로 했다.

한편 미 의회 일각에서 지난달 21일 시리아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공격과 관련 미국 정부가 발표한 사망자 수가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은 미국 정부가 당시 공격으로 어린이 426명을 포함해 1429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나 관리들이 비공개 브리핑에서 희생자 일부는화학무기를 탑재한 로켓이 폭발하는 과정이나 화학무기 공격 이후 지속된 포격에 의해 사망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의회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