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응급실’ 닥터헬기 르포] 인천·전남·경북·강원에 1대씩… 623회 출동 환자 572명 이송
입력 2013-09-14 04:06 수정 2013-09-14 10:46
보건복지부는 2010년 9월 23일부터 도서지역이 많은 인천(길병원)과 전남(목포한국병원)에 닥터헬기를 1대씩 도입했으며 올해 7월부터 산간, 내륙 지역으로 확대했다. 의료 취약지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북과 강원도(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 1대씩 추가 배치해 모두 4대를 운행 중이다. 지난 3년여 동안 실적을 보면 닥터헬기는 도서 및 산간 지역 응급 환자들의 생명 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13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닥터헬기는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4곳에서 927회의 출동 요청을 받았고, 이 가운데 출동은 623건이 이뤄졌다. 출동 도중에 환자가 사망했거나 기상 악화로 인한 회항 등으로 임무가 중단된 경우(53건)를 빼면 실제 이송은 570건(환자 수 572명)이 진행됐다. 출동 요청이 있었지만 응급 환자에 해당되지 않아 기각된 것도 304건이었다.
닥터헬기 적용 대상은 뇌졸중(두통, 의식저하, 마비 등), 심장질환(가슴통증, 저혈압 등), 외상(추락, 골절, 화상, 교통사고 등), 벌·뱀에 물린 환자, 농약 및 약물 중독, 복부 통증, 호흡곤란, 분만 징후 있는 산모, 신생아 등을 포함해 응급의학 전문의가 긴급 이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환자들이다. 중앙응급의료센터 고광준 대리는 “다만 이미 출동 중인데 2차 지원 요청이 있거나 인계점이 없는 지역의 경우 응급 전화가 와도 부득이 기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570건 중 전남의 이송 실적이 333건으로 인천(217건)보다 많았다. 이에 대해 중앙응급의료센터 차명일(응급의학전문의) 응급의료사업팀장은 “전남 지역은 1000개가 넘는 섬이 있는데, 아무래도 구급차를 통한 육상 이송이 어려운 점 때문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572명 가운데 현장 이송(51%)과 병원 간 이송(48%) 비율이 비슷했다. 특히 전남은 현장 이송 비율이 63%로 병원 간 이송(37%)보다 배 가까이 많았다.
연령별 이송 환자들(572명)은 70대 이상이 40%(230명), 50대 21%(120명), 60대 17%(97명)를 차지해 80% 가까이가 50대 이상 장노년층이었다. 증상별로는 중증 외상 20%(113명), 뇌질환 16%(93명), 심장질환 8%(43명), 기타(호흡곤란, 의식저하, 쇼크, 화상, 심한 복통, 소화기출혈 등) 56%(323명)를 차지했다.
월별 출동 현황을 보면 4∼10월에 월평균 30명 전후의 응급 환자들이 이송돼 온 반면 겨울철은 10∼20건에 머물렀다. 산간, 도서 지역의 경우 특히 농번기 경운기, 트랙터 등으로 인한 사고로 다치는 중증 환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1999년 닥터헬기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일본(2012년 기준 40대 보유)은 사고 발생 후 24시간 안에 사망한 외상 환자가 2000년 9000여명에서 2009년 4000여명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면서 “향후 경북과 강원 지역을 포함한 닥터헬기 운행 성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뒤 확대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닥터헬기와 소방헬기 간 벌어지고 있는 환자 실적 경쟁이나 일부 닥터헬기 운행 지역에서 나타나는 ‘님비(Nimby·지역이기주의)’ 현상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안동병원 김병철 응급실장은 “닥터헬기는 야간 비행이 안 되고 기상조건 및 거리(반경 100㎞ 내 출동) 제약도 많아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장거리 이송의 경우 소방헬기 등 타 부처 헬기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헬기 보유 부처들이 실적 경쟁을 지양하고 중증 환자의 생명과 건강 보호를 위해 이송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