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통상임금·화평법 외국인 투자 걸림돌 될 수도”

입력 2013-09-12 18:14 수정 2013-09-12 22:09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이 최근 논의되고 있는 통상임금,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화평법)을 지목하며 “기업 현실에 맞지 않고 투자나 일자리 창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전경련 회장단은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발표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회장단은 “해외 기업의 국내 투자가 부진한 상황에서 통상임금이나 화평법 같은 규제가 외국인 투자 기피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성장동력 회복을 위해 보다 신중히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브리핑에서 “통상임금이 확대되면 대기업 피해가 더 클 수도 있다”면서 “잘 해결될 수 있도록 조사·연구를 진행하고 설득 작업도 벌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최근 경제민주화에서 경제활성화로 기조를 바꾼 데 대해서는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기업들의 투자 의욕이 살아나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에 부응해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회장단은 창조경제가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한국경제에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바이오, 전지, 로봇 등 창조경제 산업에 총 37조원을 계획대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창조경제는 정부의 기획력, 국민의 창의성, 기업의 실행력이 융합돼야 성공할 수 있다”며 경제 주체의 동참을 당부했다.

회장단은 추석을 앞두고 회원사의 온누리상품권 구매를 독려하고, 국산 농수산물을 추석선물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회장단 21명 가운데 이준용 대림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등 7명이 참석했다. 전경련은 내년 2월 정기총회에서 회장단 보강 문제를 논의할 방침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