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3자회담 제의] 민주 ‘先의제조율 後회담’

입력 2013-09-12 18:04

민주당 지도부는 12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의 회담 제안이 나오자마자 곧바로 대책회의에 들어갔다. 지도부는 갑론을박을 벌인 뒤 ‘선(先) 의제조율, 후(後) 회담’이라는 유보적 입장을 나타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정확한 의도와 논의할 의제를 추가로 확인한 후에 당의 공식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며 “국가정보원 개혁 등에 대한 민주주의 회복 방안이 회담의 주(主) 의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당의 입장 발표 시기에 대해 “16일쯤에 회담 일정이 잡혀있으니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일면 긍정적 입장을 보이면서도 청와대의 회담 통보 방식에 대해선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 수석대변인은 “정오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전병헌 원내대표에게 박 대통령과의 회담 형식과 일시를 통보했다”며 “이에 전 원내대표는 ‘합의 없이 통보 발표한다면 상황이 더 꼬일 수 있다’고 답했다”고 소개했다. 또 “하지만 김 비서실장은 ‘윗분의 말씀을 전할 뿐 다른 말은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면서 “통보한 내용과 그에 이은 청와대의 일방 발표는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 존중을 생략한 것으로 진정성 확인이 어렵다”고 비판했다.

김한길 대표도 청와대의 갑작스런 제안에 대해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담 수용 문제를 논의하다 기자들을 만나 “제안의 배경과 의도를 파악 중”이라며 “정확한 의도와 진의를 아직 모르겠다”고 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이 청와대의 제안을 거부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중론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실무적으로 의제를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이렇게 일방통보한 것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주는 것이다. 청와대에서 모든 주제를 하자고 하니까 우리는 국정원 개혁과 민주주의 회복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수석대변인도 “회담 형식은 크게 구애받지 않을 것이다”, “일단 16일에 회담 일정이 잡힌 것 아니냐”고 말하는 등 회담 성사에 힘을 실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회담 전까지 청와대와 의제를 두고 줄다리기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