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밀양’까지 내려갔지만… 가구당 400만원 지원 약속 불구, 주민 “송전탑 공사 온몸으로 저지”
입력 2013-09-11 18:16 수정 2013-09-11 22:24
정부가 2007년 11월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승인한 이후 6년 가까이 갈등을 빚어온 밀양 송전탑 건설 문제가 전기를 맞게 됐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송전탑 건설 예정지인 밀양을 방문한 가운데 주민 대표 등으로 구성된 ‘밀양 송전탑 갈등해소 특별지원협의회(이하 특별지원협의회)’는 핵심사항에 대해 합의안을 내놨다.
그럼에도 이 합의안이 갈등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여전히 송전탑 공사 자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크기 때문이다. 이계삼 송전탑 반대 대책위 사무국장은 “다수 주민은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고 있다”며 “정부와 한전이 공사를 강행한다면 온몸으로 막겠다”고 공사 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총리가 직접 현지를 방문해 릴레이 면담을 하며 조정에 나섰고, 과거보다 더 진전된 보상안이 제시됐기 때문에 정부와 한전은 이 합의를 계기로 공사 재개를 기대하고 있다. 각 가구에 대한 400만원 정도의 개별 보상을 가능하도록 했고 몇 가지 지역 숙원사업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기 때문에 지역 민심이 돌아서 주기를 바라는 눈치다.
하지만 아직 지역민들의 마음은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일부 지역민들은 “정부도 더 이상 해주기는 힘들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보상 여부와 관계없이 송전탑 자체를 반대하는 이들도 여전하다. 반대 주민들은 이날 정 총리가 방문한 장소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기도 했고 정 총리가 탄 버스를 막기 위해 도로에 드러눕기도 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합의안을 내놓은 특별지원협의회에 대한 불신도 한몫하고 있다. 반대 주민들은 “주민을 돈으로 매수하고 결국 송전탑 건설을 기정사실화하려 한다”며 특별지원협의회에 불참했다. 공사에 반대하지 않는 주민들만 특별지원협의회에 포함됐다는 의미다.
정부와 한전은 보상안 확정에 따라 공사 재개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지만 반대 측 주민들을 설득하지 못하면 이번 합의안만으로 갈등 해결의 좋은 선례를 남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승훈 기자, 밀양=이영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