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BMW·아우디 등 유명 수입차 고객 울리는 ‘수리비 폭리’ 손본다

입력 2013-09-11 17:53 수정 2013-09-11 22:12

유명 외제차의 국내 판매업체인 ‘딜러사’ 들이 자동차 수리비와 부품 가격을 부풀려 챙겨온 단서가 포착돼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신성식)는 유명 외제차의 국내 판매업체 9개사를 수리비 과다계상 등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수사 대상에는 BMW, 메르세데스벤츠, 폴크스바겐, 아우디, 렉서스, 도요타 등 6개 외제차 브랜드의 딜러사 9개사가 포함됐다.

이날 오전 10시30분쯤부터 검찰은 각각 폴크스바겐, 아우디, 렉서스, 도요타의 국내 공식 판매를 맡은 클라쎄오토, 고진모터스, 엘앤티렉서스, 효성도요타 등 4개사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했다. 검찰은 앞서 10일 BMW 공식 판매업체인 코오롱모터스, 한독모터스, 도이치모터스와 벤츠 공식 판매를 맡은 한성자동차, 더클래스효성 등 5개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쳤다.

검찰은 이들 업체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지난 몇 년간의 수리비 청구내역과 부품 입출고 현황 등의 전산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한 자료를 분석한 뒤 이들 업체가 고객에게 수리비를 과다 청구하거나 실제 가격보다 높은 부품값을 제시했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외제차 수리비 폭리 문제는 꾸준히 제기됐다. 외제차의 평균 수리비는 국산차의 3배 이상이며 부품비는 5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인으로는 직영 딜러사에 의한 독점적 부품 유통구조와 국산차 시장에 비해 가격정보 등이 폐쇄적이라는 점 등이 지적돼 왔다. 한편 외제차 등록대수가 2011년 62만대에서 지난해 74만7000여대로 급증함에 따라 지급되는 보험금도 매년 약 25%씩 증가하는 상황이다.

지난 5월에는 민주당 민병두 의원이 외제차 수리비 거품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달 정기국회 처리를 앞둔 이 개정안에는 미국인증자동차부품협회(CAPA) 등 품질인증기관의 인증을 거친 대체부품을 활성화하는 방안과 자동차 정비 시 소비자에게 부품정보 세부내역을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