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얼룩진 원전… 총체적 부실”

입력 2013-09-10 19:07

국내 원전은 인사와 부품 납품이 금품로비와 청탁에 좌우되면서 총체적 부실을 낳은 것으로 드러났다. 원전의 구조적인 비리를 차단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단장 김기동 지청장)은 10일 박영준(53) 전 지식경제부 차관을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하면서 105일간의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박 전 차관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던 2010년 3월 원전 브로커 이윤영(51)씨로부터 한국정수공업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처리 설비 공급과 관련한 청탁과 함께 5000만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김종신(67) 전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으로부터 원전 관련 정책수립에 한수원의 입장을 고려해 달라는 부탁과 함께 두 차례 700만원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5월 29일 전국 7개 검찰청과 동시에 ‘원전비리 맞춤형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한 이후 박 전 차관과 김 전 사장, 이종찬(57) 한국전력 부사장 등 고위층 인사를 비롯해 모두 43명을 구속기소하고 54명을 불구속기소했다.

이들 중 원전 관련 기관의 전·현직 임직원이 22명으로 가장 많았고, 21명이 징계 통보를 받았다. 또한 금품수수자가 17명으로 받은 금액은 한수원 김 전 사장 1억7700만원 등 모두 24억3800만원에 달했다.

검찰은 그동안 JS전선 제어 케이블을 비롯한 47개 원전부품의 시험성적서 위조, 현대중공업과 한국정수공업 등의 대규모 금품로비, 한수원과 한전 자회사 인사청탁 등 고질적인 비리 구조를 상당부분 파헤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JS·LS전선의 금품로비 의혹이나 UAE 원전사업 관련 자원외교 핵심라인에 대한 이명박정부 고위층의 연루 의혹을 밝히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