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살리기 나선 정부… 펀드·보험영업 허용 검토

입력 2013-09-10 17:47 수정 2013-09-10 22:54


저축은행 업계에 회생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2011년 대량 영업정지 사태 이후 저축은행 수가 급감했고 거래액도 10여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은행과 대부업체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한 저축은행들은 금리 경쟁력마저 잃은 채 표류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조만간 회생방안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저축은행이 다시 서민금융의 보루로 재기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1972년 ‘사금융 양성화 3법’의 제정을 계기로 처음 설립된 상호저축은행(상호신용금고)은 1980년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부문에 자금공급을 담당하면서 1983년 241개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대주주 비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영업 리스크 관리 실패 등으로 대거 영업정지를 맞으면서 지난 3월 말에는 91개로 급감했다. 솔로몬을 비롯해 업계 수위의 저축은행들이 대부분 문을 닫으면서 일본계 대부업체 손으로까지 넘어갔다.

거래액(수신)도 고금리 예·적금을 앞세워 2010년 3월 76조8625억원까지 늘어났지만 이후 저축은행 사태가 터지며 지난 1분기에는 39조2772억원으로 3년 만에 반 토막 났다.

당국의 정책 실패도 저축은행의 몰락에 한몫을 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 고정이하여신비율 8% 이하 요건을 충족한 우량 저축은행 ‘8·8클럽’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 조치는 저축은행의 부실을 가속화했다. 저축은행의 감사로 취임한 금융당국 출신 인사들은 은행 부실을 감시하기는커녕 ‘얼굴마담’ 역할을 하는 데만 매달렸고 결국 검찰 수사로 대거 구속되기도 했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3년 가까이 업계에 부활 기미가 보이지 않자 당국도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우선 저축은행에 보험과 펀드 판매 등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주택금융공사의 주택구입 자금이나 정책금융공사의 온랜딩 대출 등 정책금융을 허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대부업체의 저축은행 업계 진출을 허용해 자금난에 허덕이는 저축은행의 숨통도 틔워줄 것으로 보인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0일 서울 부암동 AW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상호저축은행중앙회 창립 40주년 기념식에서 “저축은행의 지역 밀착형, 관계형 영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해 나갈 생각”이라며 “단순한 대출 상품 외에 할부금융, 펀드, 보험, 카드 판매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제 저축은행 업계가 대부분 부실을 털어낸 상태”라며 “정부가 규제 완화 의사를 밝힌 만큼 앞으로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고 수익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대명·스카이·진주저축은행이 금융위원장 표창을, 민국·센트럴저축은행은 금융감독원장상 표창을 수상했다. 대한·친애·평택저축은행은 체크카드 실적 우수 저축은행으로 저축은행중앙회의 표창을 받았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