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만에…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백지화

입력 2013-09-10 00:59

논란이 된 법무부 산하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의 이전이 백지화됐다. 경기도 분당구 서현동으로 지난 4일 새벽 기습 이전한 지 5일 만이다.



법무부는 성남보호관찰소를 서현역세권 업무용 건물로 이전하는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또 새로운 장소로 이전하기 전에는 서현동 청사에서 업무를 보지 않기로 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것은 서현동 청사에서 나가겠다는 의미”라며 “새로운 입 지가 정해지면 그곳에서 컨테이너박스를 만들어서라도 여건에 맞춰 업무를 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국회에서 황우여 대표와 황교안 법무부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당정협의를 갖고 정부에 관찰소 이전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한편, 빠른 시간 내에 새로운 장소로 이전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 이에 황 장관은 “당과 충분히 상의하지 않은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심사숙고해서 지역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빠른 시일 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당정협의에 참석했던 이종훈(분당갑) 전하진(분당을) 의원은 관찰소 이전이 철회될 때까지 법무장관실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해 법무부를 압박했다.



성남보호관찰소 이전 반대를 위한 학부모 범대책위원회는 이날 서현동 성남보호관찰소 입주 건물 앞에서 연좌 농성을 하며 보호관찰소 직원들의 출근을 막았다. 학부모 1000여명은 별도로 법무부가 있는 정부 과천청사 앞에서 오전 2시간 동안 보호관찰소 이전을 촉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10일부터는 8개 초등학교가 무기한 등교거부에 들어가기로 결의한 상태였다.

2000년 설립된 성남보호관찰소는 독립 청사를 마련하지 못하고 수진2동에서만 세 번 옮겼고 구미동, 여수동, 야탑동 등지로 이전을 추진하다가 주민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그러자 지난 4일 새벽 사전협의나 예고 없이 수정구 수진3동에서 분당구 서현역 인근 코암빌딩 1∼3층(1124㎡)으로 전격 이전해 학부모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김재중 기자, 성남=김도영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