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사회적경제기업 2000개로 확대

입력 2013-09-09 21:37


강원도가 ‘사회적경제’를 도(道) 핵심 경제정책으로 설정했다고 9일 밝혔다.

도는 이날 오후 도청 대회의실에서 사회적경제 비전 선포식을 갖고 그동안 비주류경제 분야로 꼽히던 사회적경제를 공식적인 경제정책에 포함해 집중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사회적경제는 주민들이 자체적인 힘으로 마을 내부의 자원을 이용해 경제활동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 등이 대표적이다.

사업 추진을 위해 도는 ‘사람 중심의 사회, 공동체 협력의 경제, 행복한 강원도 실현’을 사회적경제 비전으로 정했다. 내년부터 2018년까지 1183억원을 들여 4개 분야, 16개 정책과제, 65개 세부과제를 실행키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도내에서는 활동 중인 642개 사회적경제기업을 2018년까지 2000개로 늘리고 일자리 3만5000개를 만들기로 했다. 이에 따른 목표 매출액은 1조원으로 잡았다.

4개 분야별 추진사업은 인적자원 육성과 네트워크화, 사회적경제 시장조성, 사회적경제 비즈니스 고도화, 통합지원체계 구축과 제도정비 등이다. 세부사업은 인적자원·전문 컨설턴트 육성, 시장환경 조성·확대, 지역 화폐 도입, 사회적경제기업 내실화, 사회적경제 정책 추진을 위한 통합조례 마련 등이다. 청년·시니어 사회적창업 지원, 공동브랜드 제작·판로개척, 평창동계올림픽 연계 사회적경제 클러스터 조성 등도 포함돼 있다.

올해는 도청 내부 조직에 ‘사회적경제과’를 신설하고, ‘사회적경제 관련 조례’ 등을 만드는 등 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중장기적으로는 ‘사회적경제진흥원’을 설립한다는 방침이며, 내년부터는 사업 예산을 확보해 연차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문순 도지사는 “심각한 지역 자본의 역외 유출문제를 해결키 위해 지역통화 도입 등 지역경제선순환 시스템 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면서 “도내 사회적경제기업이 건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품질향상·판로개척·홍보·교육 등을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