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베트남 새시대 열다] “2014년까지 높은 수준 FTA 체결”… 원전 수출 길닦아

입력 2013-09-09 18:20 수정 2013-09-09 22:17


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하노이 주석궁에서 쯔엉 떤 상 국가주석과 한·베트남 정상회담을 갖고 내년 중 높은 수준의 포괄적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목표로 협상을 가속한다는 내용의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사돈 나라’끼리 더 밀착된 경제협력 하자=공동성명에 나타난 경제협력의 3대 화두는 한·베트남 FTA 추진과 원전 수주기반 조성, 베트남 국책사업 참여 등이다.

양국은 지난 5월 열렸던 2차 FTA 체결 협상에 이어 오는 10월 3차 협상을 개최하는 등 연내 두 차례의 추가 협상을 갖기로 했다. 2020년까지 무역액 700억 달러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하자는 데도 의견일치를 봤다.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은 “일본이 이미 2009년에 베트남과 FTA를 체결해 시장을 선점했는데 이것이 완성되기 전에 우리가 들어가 상대적 불이익을 극복하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응웬 떤 중 총리가 박 대통령과의 오찬 직후 하나은행의 6년 숙원사업이었던 호찌민 지점 설치 문제를 즉석에서 “빨리 처리해주겠다”는 입장을 밝힐 정도로,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에 적극적이었다.

또 두 정상은 한국의 원전개발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는 게 베트남 원전산업 육성에 기여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베트남에서의 원전 개발을 위해 양국이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2015년 100만㎾급 원전 2기(5·6호기) 건설 등 총 100억 달러 규모인 베트남 원전사업에 우리가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것으로 평가된다.

공동성명에는 융깟 석유비축사업과 베트남 남북 화력발전소 건설사업 등 에너지 기반시설 건설에 대한 한국 기업 참여를 더욱 확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2012년 만료된 한국 내 고용허가제의 조속한 재개 노력도 명시됐다.

양국은 7개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 내 고용허가제에 따른 베트남 인력송출 재개, 한·베트남 과학기술연구원(V-KIST) 설립 사업, 딴번-연짝 간 도로건설 사업, 공간정보 데이터 인프라 분야 협력, 한국 금융감독원의 베트남사무소 설치, 유통물류 협력, 한·베트남 환경 협력 등이다. 청와대는 “이들 양해각서 체결은 우리의 발전 경험을 전수하고 베트남의 기초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트남도 “북한 핵무기 안 된다”=박 대통령은 어떠한 경우에도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음을 분명하게 얘기했고, 베트남 측은 핵무기 개발이 한반도와 동아시아 및 세계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베트남 측은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윤병세 외교부장관은 브리핑에서 “한반도 정세 분야가 과거 문안보다 4∼5배 길고 저희가 원하는 걸 다 받아줬다”면서 “당 대 당 차원에서 북한과 우호관계를 유지해온 베트남이 ‘북핵이 세계평화에 위협이 된다’고 우리와 공감한 것은 상당히 하기 힘든 일”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은 정상회담 정례화와 고위급 교류 활성화, 외교안보 전략대화의 정기적 개최 등에도 의견을 같이했다. 박 대통령은 쯔엉 떤 상 주석에게 “환대에 감사하며 편리한 시기에 한국을 방문해 달라”고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

하노이=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