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니 재보선’, 모두 與 텃밭… 서청원 선택지역 주목

입력 2013-09-09 03:58


10·30 재·보궐선거가 의석수가 많지 않은 ‘초미니 선거’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재보선 예상 지역 대부분을 우세로 판단하고 있는 새누리당은 서청원 전 친박연대 대표의 귀환 여부에 따른 여권 권력구도 재편 문제 등 선거 이후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여당 텃밭이 많아 관심을 덜 두는 분위기다.

정치권이 당초 재보선 지역으로 꼽았던 곳은 무소속 김형태 전 의원의 경북 포항남·울릉과 새누리당 고(故) 고희선 의원의 경기 화성갑 등 확정된 2곳에 서울 서대문을과 인천 서·강화을 및 계양을, 경기 수원을 및 평택을, 충남 서산·태안, 전북 전주완산을, 경북 구미갑을 더해 총 10곳이었다.

하지만 대법원의 확정판결까지 남은 기일을 계산하면 재보선 예상 지역은 확 줄어든다. 선거법에 따라 10월 30일 실시되는 재보선 지역구에 포함되려면 최소 한 달 전인 9월 30일까지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대법원 판결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추석 연휴 등도 있고 해서 8일 현재 예정된 대법원의 공판 일정은 9월 26일이 유일하다. 여기에 항소심부터 대법원 판결까지 통상 6개월 정도 걸렸던 기간을 고려하면 26일 공판이 이뤄질 수 있는 곳은 지난 2월 7일 항소심에서 당선무효형을 받은 심학봉 의원의 경북 구미갑과 3월 22일 판결을 받은 이재영(이상 새누리당) 경기 평택을 등 2곳 정도다. 이미 확정된 2곳을 포함해 3~4석에 불과한 셈이다.

이대로라면 선거 초점은 국가정보원 개혁 문제나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혐의 등 정치권 이슈보다는 등장인물에 맞춰질 공산이 크다.

새누리당은 출마를 결심한 서 전 대표가 어느 지역구를 택하느냐를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그는 당초 점찍었던 충남 서산·태안과 인천 서·강화을이 이번에 제외될 가능성이 커지자 경기 화성갑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자신의 보좌관 출신인 서장은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포항 남·울릉 출마를 저울질하면서 ‘공천 싹쓸이’ 논란이 생길 수 있어 고심 중이라고 한다.

새누리당 김세연 사무부총장 겸 공직자추천심사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9일 공천위 첫 회의에서 상견례를 한 뒤 본격적인 공천 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재보선이 새누리당 우세지역 중심으로 치러질 공산이 커지자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당초 예상보다 (재보선) 규모가 상당히 작아질 것 같다. 하지만 선거가 있으면 어디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 평택을이 포함될 경우 이 지역에서 내리 3선을 한 민주당 정장선 전 의원이 출마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대통령실장을 지낸 새누리당 임태희 전 의원이 경기 수원을 또는 평택을에 출마할 가능성이 있어 빅매치가 성사될지도 주목된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