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 해법은?…시민토론회 개최
입력 2013-09-05 17:06
[쿠키 사회] 용인경전철의 정상화 방안을 찾기 위한 시민대토론회가 5일 오후 강남대학교 소극장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하나같이 용인시의 잘못된 정책판단을 질타하면서 당분간 운영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용인경전철은 무려 1조원을 들여 건설해놓고도 하루 탑승객이 1만명도 안될 정도로 막대한 운영손실을 보고 있어 대표적인 예산낭비 사례로 꼽힌다.
권오진 경기도의원은 “경전철 역사가 주민이나 대학생들이 탑승하기 어려운 곳에 있어 외부인을 유치하지 않으면 탑승객 증대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 주변 개발계획 수립, 광고 등 수입원 창출, 운영비 최소화, 기술력 축적을 통한 자체 운영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박남숙 용인시의원도 “승객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경전철 주변의 기흥역세권, 역삼지구, 고진지구 등을 개발하고 에버랜드, 민속촌, 경기도 박물관, 어린이 박물관, 백남준 아트센터 등의 관광객을 경전철 승객으로 유치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성구 용인경전철비상대책위원장은 용인경전철이 자치단체장의 치적을 위한 사업이라고 용인시를 비난했다.
그는 “옛 건설교통부는 2007년 개통 목표로 남양주∼광주∼용인∼신갈을 잇는 수도권 광역전철망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기본설계에 착수했다”며 “용인시는 이런 사업계획을 알고도 ‘전국 최초의 경전철 건설’이라는 자치단체장의 치적만을 위해 경전철 건설을 강행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위원장은 “현재 성남∼광주∼여주를 잇는 복선전철은 당초 계획에서 용인을 제외한 채 내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이라며 “자치단체장의 정책결정과 판단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증명한 사례”라고 덧붙였다.
현근택 변호사는 “용인시의 성급한 판단 때문에 국제소송에서 패소, 8500억원을 일시에 물어주게 됐고, 재협상의 기회마저 상실했다”고 주장했다.
이승우 한국토지주택공사 전문위원은 모든 사업비를 손실처리하는 전면 사업철회, 승객 유치 등을 통한 장기적인 정상화 방안, 투자비와 향후 30년간 손실액(2조∼3조원)을 감안해 민간 사업자에게 매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용인=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