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2020 하계 올림픽 유치 다급… 원전 ‘땜질 처방’

입력 2013-09-03 18:20 수정 2013-09-04 01:55

일본이 3일 정부 차원에서 5000억원을 쏟아부어 불안감이 가중되는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내놨다. 오염수 문제가 7일 결정되는 2020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도 걸림돌이 된다고 판단해 서둘러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하지만 언론조차 땜질식 대책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데다 오염수 유출사례가 속출하고 있어 불안감 해소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원자력재해대책본부 회의를 갖고 원전 주변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동토차수벽(凍土遮水壁) 건설(2014년 완공 목표)과 오염수에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정화설비 증설 등에 모두 470억엔(약 5170억원)을 국비로 마련해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또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을 책임자로 한 각료회의를 구성하고 후쿠시마 원전에 참사관급 정부 관계자를 상주시켜 오염수 문제를 직접 점검키로 했다. 아베 총리는 “도쿄전력에만 문제해결을 맡기지 않고 정부가 전면에 나서 해결하고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이와는 별도로 도쿄올림픽유치위원회는 지난달 27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에게 “도쿄는 안전하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 불안감 불식에 나섰다.

하지만 교도통신은 정부의 대책이 해외에서 원전 안전을 둘러싼 우려가 증가하면서 올림픽 유치를 위해 궁여지책으로 내놓은 정책이라며 오염수 유출로 영향을 받는 어민이 15만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올림픽 유치보다는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우선이라고 비판했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발표된 날 오염수를 보관한 지상탱크에서 지난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의 방사선량이 측정됐다. 도쿄전력은 H3 구역의 탱크 2기를 측정한 결과 방사선량이 시간당 최대 2200밀리시버트(m㏜)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이 정도의 방사선량은 사람이 3시간만 노출돼도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앞서 지난달 31일에도 저장탱크 3기와 배관 접합부 1곳에서 시간당 70∼1800m㏜의 고농도 방사선이 검출되기도 했다. 우려가 커지면서 원자력규제위원회의 다나카 순이치 위원장은 2일 “방사성 농도를 낮춘 오염수를 그대로 바다로 방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후쿠시마 주민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무토 루이코 등 시민단체 회원 3명은 3일 도쿄전력이 오염수 배출에 대한 대책을 취하지 않았다며 히로세 나오미 사장 등 전·현직 간부 32명 등에 대해 공해범죄처벌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들은 도쿄전력 관계자를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