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주요 교단 총회] ① 예장 합동·고신·합신

입력 2013-09-03 17:41


한 뿌리서 나온 한국 대표 보수교단 2013년 9월 총회, 보수진영의 현주소 될듯

예장 합동과 고신, 합신은 조선예수교장로회라는 같은 뿌리에서 시작된 교단으로 한국교회의 대표적 보수그룹이다. 이들 3개 교단의 9월 총회를 보면 한국 보수교계의 현주소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예장 합동 총회는 용역동원, 가스총 등장, 기습적 파회 등으로 파행을 거듭했던 지난해 97회 총회의 연장선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실행위원회가 97회 총회와 관련된 노회 헌의안을 모두 반려하고 관련인사들을 징계키로 했기 때문이다. 당시 총회와 관련된 헌의안은 총무해임 및 처벌, 총회장 퇴임 및 증경총회장 명단에서 영구삭제, 총회 파행기간 중 제작된 ‘총회소식지’ 특별감사 등이다. 특히 장로교 헌법상 명백하게 규정돼 있는 노회의 청원권(헌의안 제출)을 실행위원회가 반려한 것은 그 자체가 초법적 사건이라는 게 대체적 평가여서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이밖에 다락방 이단 해제에 따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관련인사 조사처리, 한기총 탈퇴안, 세계교회협의회(WCC) 선언문 동참자 처리, 전력 피크제 폐지 건의, 차별금지법 대책, 총회 산하기관장까지 절충형 선거제도 적용, 실행위원회 폐지 등도 헌의돼 있다.

예장고신 총회에서는 고신대와 고려신학대학원의 분리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전라노회는 “지난해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되는 등 고신대의 존립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신대원을 대학 산하기관으로 둘 수 없다”며 “고려신학대학원을 고신대에서 독립시켜 대학원대학교로 만들어 줄 것”을 헌의안으로 내놓았다.

북한선교위원회는 총회차원에서 북한에 피랍돼 2007년 사망한 고(故)김동식 목사의 유해송환을 추진해 줄 것을 청원했다. 이 밖에도 ‘세습반대법 제정안’ 통과 여부와 WCC 부산총회에 대한 입장, 교단지인 기독교보 사장 금권선거 문제 처리방안도 논의 될 예정이다.

예장 합신 총회의 주요 현안은 한국교회연합(한교연) 가입여부 결정이다. 합신 측은 지난해 정기총회에서 장시간 논의 끝에 한기총 탈퇴를 결의했고, 한교연 가입에 대해서는 심사가 필요하므로 임원과 총무가 심사하고, 조사해서 보고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세습금지에 대한 헌의안이 올라와 있으며 WCC 부산총회 반대 성명 채택여부와 차별금지법 반대도 논의할 예정이다.

수년간 끌어온 고신과 합신 양교단의 통합문제는 다소 입장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신 측 합동추진위원회는 이번 총회에 ‘양 교단의 총회 총대는 두 교단이 같은 숫자로 하고, 5년 후에는 완전히 합동하자는’ 안을 내놓는 등 다소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합신 측은 중서울노회가 “합신과 고신 양 교단이 각각 정치적·문화적 차이가 크고, 합동 추진 과정에서 교단의 정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많다”며 “합동 추진을 중지하고 우호적 교단으로서의 관계만 유지할 것”을 헌의하는 등 부정적인 기류가 흐르고 있다.

백상현 이사야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