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산하기관·교육청 장애인 고용 ‘낙제점’

입력 2013-09-02 18:42

광주시 산하기관과 광주시교육청의 장애인 고용률이 법정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의회 문상필 의원은 2012년 말 기준 자치단체별 장애인 공무원 고용현황 분석결과를 2일 공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광주시는 정원 5768명 중 235명을 장애인으로 고용해 4.07%의 비교적 높은 고용률을 기록했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서울 4.27%와 제주 4.18%에 이어 세 번째 높은 것이다.

하지만 광주의 대표적 공기업인 도시철도공사와 김대중컨벤션센터의 고용률은 2.1%와 2.6%로 저조했다. 출자출연기관인 광주테크노파크는 장애인을 1명도 고용하지 않았으며, 수완에너지 역시 1.6%에 그쳤다. 광주시교육청 역시 1.66%로 전국 17개 시·도 중 9번째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시교육청은 2010년 4억9276만원, 2011년 5억8556만원, 2012년 5억9231만원의 고용부담금을 납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행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3%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돼 있다.

문 의원은 “시교육청의 경우 어린 학생들에게 돌아갈 많은 예산을 해마다 고용부담금으로 허비하고 있다”며 “광주시 산하기관과 출자출연기관들도 장애인 고용률을 법정 기준에 맞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