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사돈 기업 ‘동아원’, 동물사료 수입대금 부풀려 해외로 빼돌린 정황

입력 2013-09-02 18:26 수정 2013-09-02 22:52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돈기업 동아원 그룹이 고급 애완용 동물사료(Pet Food)를 수입 과정에서 비용과다계상 방식 등으로 외화를 유출한 정황을 검찰이 포착하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범죄 사실이 입증될 경우 동아원 측에 역외탈세나 재산국외도피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수사가 재국·재용씨에 이어 삼남 재만(사진)씨로 본격 확대되는 모양새다.

2일 검찰 등에 따르면 재만씨 장인인 이희상 동아원 회장은 2004년 6월 미국 캘리보니아 나파밸리 지역에 현지법인 고도(KODO)란 회사를 설립했다. 고도는 이 회장과 재만씨, 재만씨 부인이 이사로 등재돼 있지만 사실상 재만씨가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고도를 통해 와인 농장을 사들였고 이듬해 와이너리 운영업체 ‘다나 에스테이트’도 세웠다. 고도는 2007년 미국에서 양조면허를 취득한 뒤 본격 와인사업에 나섰다.

그런데 고도는 같은 시기 미국에서 양조면허 외에 애완용 동물사료업 허가를 받았다. 해외 유명 사료 브랜드 A업체 라이선스도 인수했다. 동아원 사료부문 계열사인 대산물산 등은 이때부터 고도를 통해 애완용 동물사료를 수입했다. 대산물산은 원래 사료 제조업체 ‘텍사스 팜 프로덕트’와 직접 계약을 맺고 사료를 수입해 왔다고 한다. 하지만 ‘텍사스 팜 프로덕트→대산물산’에서 ‘텍사스 팜 프로덕트→고도→대산물산’으로 수입 경로가 바뀌면서 고도가 중간에 브랜드 수익을 얻는 구조가 됐다. 고도는 2007년에만 영업권과 상표권으로 60억원가량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특히 동아원 측이 고도를 경유해 사료를 수입하면서 외화가 과다 지출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원 측이 물품 가격을 높여 지급해 고도에 부당이득을 안겼다는 게 검찰의 의심이다.

검찰은 또 고도가 운영 중인 1000억원대 와이너리 매입자금 일부가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일 것으로 의심하고 매입자금 출처와 내역 등도 조사 중이다. 검찰은 관세청과 금융정보분석원(FIU)을 통해 동아원 그룹의 사료 관련 수출입 내역서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미국 현지 금융기관 송금내역 일체도 제출받았다.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김형준 부장검사)은 이날 동아원 본사와 대산물산, 계열사 및 관련자 자택 등 11곳을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 회장 집무실도 포함됐다. 대산물산 관계자는 “고도는 해외 판권을 다 갖고 있다. 우리 회사에게만 가격을 부풀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재만씨는 서울 한남동 고급 주택가에 100억원대 빌딩도 갖고 있다. 검찰은 1995년 전 전 대통령 비자금 수사 때 재만씨가 이 회장에게서 결혼 선물로 받은 160억원어치 채권 중 114억원가량의 실소유주가 전 전 대통령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검찰은 재국씨가 사들인 경기도 연천 허브빌리지 부지 매입자금 일부가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인 것으로 보고 지난달 29일 전체 48개 필지(19만㎡) 중 33개 필지(13만㎡)와 건물 일부를 압류했다.

전웅빈 문동성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