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받는 학생 72% 선행학습
입력 2013-09-02 18:06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72%는 선행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공교육 정상화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민권익위원회·교육부는 지난 7월 공동 실시한 ‘사교육 경감방안 모색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 및 정책토론회’ 결과를 2일 발표했다. 토론회에서는 공교육 현실을 규탄하는 학부모들의 목소리와 관련법 제정을 촉구하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한 학부모는 “선생님들이 수학 개념을 공부시키기보다 중간고사부터 수능 문제집으로 문제를 내고 있더라”면서 “학부모들이 왜 사교육을 시킬 수밖에 없는지 근본 원인부터 찾아봐 달라”고 요청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방과후 특강을 다양화하고 방과후 수업료의 정부 지원 등이 이루어지면 사교육은 당연히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각종 학교 시험과 고교·대학 입시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문제 출제를 금지하고 위반 시 강력한 불이익 조치를 내리는 내용의 공교육 정상화 특별법을 하루빨리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 4030명과 학부모 3412명, 교사 1428명 등 국민 9086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는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72.8%가 선행학습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2%는 학교 시험에서 선행학습을 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와 마주한 적이 있었다고 답했다.
선행학습을 받고 있는 아이들의 54.6%는 ‘학교 진도보다 1∼3개월 정도 빠른 수준’으로 미리 공부를 하고 있었다. ‘1학기∼1학년 정도 빠른 수준’(34%), ‘2학년 이상 빠른 수준’(5%)으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24.4%는 “선행학습을 하지 않으면 학교수업과 시험을 쫓아가기 어렵다”고 답했다.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