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던 경제사절단… 靑 ‘대기업 위주’ 관행 바꾼다
입력 2013-08-30 18:16 수정 2013-08-31 00:40
청와대가 박근혜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 모집 방식을 바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무역협회, 대한상공회의소 등이 ‘주관’하던 방식에서 정부가 참여를 원하는 기업들의 신청을 직접 받는 형태로 변경한 것이다.
청와대 김행 대변인은 30일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 경제단체 주관으로 사절단을 모집하면서 일부 소규모 중소기업인들은 참여에 어려움이 있었던 점을 감안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앞으로 누구든 경제사절단 참여를 희망하면 신청할 수 있도록 해 투명성을 높이고 우리 기업인 누구에게나 대통령 순방국 기업인과의 네트워크 기회를 제공하려 한다”고 했다. 또 “사절단 참가를 원하면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의 모집공고에 따라 인적사항과 기업 소개, 방문국과의 사업 연계성 등의 정보를 담아 이메일로 신청하면 약식 검증을 거쳐 최종 선정된다”고 덧붙였다. 바뀐 모집 방식은 9월 7∼11일 박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방문 때부터 적용된다.
그동안 역대 대통령의 순방에는 대기업들이 따라가는 게 관행처럼 여겨졌다. 따라서 명단에서 빠지면 그룹 총수가 정권에 ‘미운털’이 박힌 것 아니냐는 억측들이 돌곤 했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대통령 순방길에 동참하느냐, 못하느냐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일이 된 셈이다. 순방 때만 되면 대기업이나 경제단체 등이 청와대의 심기를 살피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전경련 등에서 순방에 따라갈 대기업 후보군을 올리면 청와대가 사실상 낙점해 왔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에는 지난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때 순방한 정준양 포스코 회장과 이석채 KT 회장이 한·중 정상이 양국 경제인과 함께한 만찬에서 배제돼 뒷말을 낳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두 회장이 행사장에 가서 초청받지 못한 사실을 전해들은 걸로 알고 있다”며 “두 기업은 다른 곳에서 따로 저녁자리를 가졌다”고 전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청와대가 두 회장을 뺀 것은 알아서 거취를 결정하라는 무언의 압력 아니겠느냐”고 해석했다.
한편 이번주 내내 경제 활성화 행보를 해온 박 대통령은 이날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닷새 앞으로 다가온 러시아·베트남 순방 준비에 몰두했다. 박 대통령은 다음달 4일부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7일 베트남을 방문하고 11일 귀국할 예정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