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음모 수사] 곤혹스런 민주당… 진보당과 연대 전력, 부메랑 될까 걱정
입력 2013-08-30 18:11 수정 2013-08-31 00:37
민주당이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로 손을 잡았던 과거 전력 탓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내란음모 혐의를 받고 있는 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국회 입성을 민주당 탓으로 돌리며 책임론을 제기했다.
민주당과 진보당의 ‘악연’은 지난해 4·11총선으로 거슬러올라간다. 두 정당은 새누리당의 과반의석 저지를 위해 전략적으로 연대했다. 진보당은 역대 최다 의석(13석)을 확보하며 원내 제3당이 됐다. 이 의원의 국회 입성도 민주당 양보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그러나 총선 직후 진보당이 비례대표 부정경선 의혹과 종북 논란에 휩싸였고 민주당에도 ‘초록동색’이라는 불똥이 튀었다. 타격은 대선까지 이어졌다. 당시 진보당 이정희 후보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향해 강경 발언을 쏟아내자 보수층이 결집해 오히려 민주당 문재인 후보에게 악영향을 끼쳤다.
이런 전력을 놓고 새누리당은 민주당을 성토했다. 하태경 의원은 30일 강원도 홍천에서 열린 연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 같은 사람이 국회에 들어온 건 민주당 책임이 크다. 권력을 잡기 위한 원칙 없는 단일화가 진보당을 키워줬다”면서 “종북 세력의 숙주는 야당”이라고 비난했다. 김진태 의원은 라디오에 나와 “이석기·김재연 의원 제명안을 처리하기로 했는데 민주당이 미뤄왔다. 빨리 진행해 두 사람을 제명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진보당은 헌법에 맞지 않으니 해산시켜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민주당은 “연대 당시와 지금의 진보당은 다르다”고 거리를 뒀다. 그러나 진보당 트라우마가 발목을 잡을까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박용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총선 당시 야권연대는 정권교체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인 합의”라며 “여당이 민주당 책임론을 운운하는 건 지나친 억지이자 구태의연한 색깔론”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미 진보당과의 연대는 비민주적인 국가관 때문에 정리됐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장외투쟁과 국정원 개혁 요구가 자칫 역풍을 맞을 것도 우려하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대선 국정원의 불법 대선개입 사건과 최근의 진보당의 내란음모 사건은 별개의 것으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김아진 기자, 홍천=김동우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