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취급 안합니다”… 수산물시장 손님끌기 안간힘
입력 2013-08-27 23:05
일본 원전사고로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누출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일본산 수산물의 국내 소비가 급격히 줄고 있다. 일부 지역 상인들은 일본산 수산물을 취급하지 않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와 연구기관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산물의 안전성을 거듭 밝히고 있다.
강원도 주문진수산시장상인회는 일본 원전사고 이후 관광객들이 수산물 구입을 꺼려 피해를 입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김판섭(54) 상인회장은 “손님들이 일본산이거나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았을까 우려해 수산물을 구입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대구시 수협공판장에서도 일본 원전사고 이후 지역에서 유통되던 동태, 명태, 생태, 냉동 갈치 등 일본산 어패류가 사고 전보다 70%나 감소한 상태다.
급기야는 경기도 성남시 10개 전통시장 상인회는 이날 일본산 수산물 판매를 중단하는 ‘일본산 수산물 청정구역’을 선언했다. 상인들은 “시민 안전을 위해 일본산 수산물을 판매하지 않고 모든 먹을거리를 안전한 것만 판매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도 대형 유통매장과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일본산 수산물 모니터링과 원산지 표시 점검을 강화키로 했다.
인천시 항동7가 인천종합어시장은 주부들로 구성된 원산지 표시 명예감시단을 운영해 500개 점포를 불시 점검하는 등 자구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조한섭(47) 인천종합어시장 기획실장은 “주부감시단에게 고소고발권도 부여해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여수수산시장 상인회는 “지난 10일 전후로 일본산 어패류를 전혀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올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연근해산 및 원양산 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산하 가락시장 측은 “국내산이거나 국가에서 수입허가를 받은 어패류만 취급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부산시도 지난달부터 시 보건환경연구원 조사팀을 통해 16개 구·군과 합동으로 시장에서 유통되는 일본산 수산물 60여건에 대한 샘플을 매주 수거해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방사능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사례는 없다”고 강조했다.
수원=김도영 기자, 전국종합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