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수능 전면 개편] 수시, 수능 최저기준 완화… 상위권大 정시모집 늘릴 듯
입력 2013-08-27 18:08 수정 2013-08-27 22:43
정부는 대학입학 제도 3년 예고제에 따라 2015·2016학년도에는 꼭 필요한 부분만 손질해 교육 현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2017학년도부터 본격적으로 변화를 추구할 방침이다. 학교 현장의 안정성, 교육과정 발전방향, 영역 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2017학년도 수능 체제를 제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종전과 같이 수능의 영향력을 완화하고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한다는 점은 변함없다.
◇A/B형 수능 폐기=수준별 수능은 가뜩이나 복잡한 대입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소로 비판이 많았다. 특히 당장 내년부터 폐기되는 영어의 경우 어떤 유형을 선택하느냐, 어느 유형에 누가 지원했느냐에 따라 수능 등급이 크게 달라지는 ‘로또’ 시험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난도 조정과 관련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국어와 수학 과목은 2016학년도까지 유지되다가 2017학년도부터 폐지된다. 시험 형태는 문·이과 융합안이 논의 중이기 때문에 그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처럼 당장 폐지하지 않은 이유는 현행 문·이과 구분에 따라 교과 내용이 다른 데다 현재 고 1·2학년 대부분이 선택형 수능에 맞춰 수업을 받고 있기 때문에 당장 폐지하는 게 혼란이 더 크다는 판단에서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처음 발표 때부터 문제제기가 많았다”면서 “원래 취지는 좋지만 우리 교육 현실에서 수준별 수능을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문제가 많은 정책이었다는 점을 시인했다.
◇수능 최저 기준 완화, 정시 비중 확대될까=교육부는 2015·2016학년도 수시에서 최저학력 기준을 백분위 대신 등급으로 반영토록 요구하고 등급 수준을 완화하도록 대학에 요구할 방침이다. 2017학년도부터는 수능 성적을 수시 종료 후 제공해 대입 반영을 원천 봉쇄하는 방안과 종전같이 재정 지원과 연계해 수능 반영을 억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결론은 오는 10월 나온다.
이럴 경우 대학들은 수시 비중을 축소하고 정시모집을 늘릴 것으로 예측된다. 종전까지 상당수 주요 대학들은 최저 기준을 설정하고 학생부 등으로 후보를 추린 뒤 수능 성적으로 최종 합격자를 결정해 왔다. 지원자들의 출신 고교별로 학력 격차가 뚜렷하기 때문에 학생부 등급이 같더라도 학력 수준이 다르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2014학년도의 경우 수시 66.4%, 정시 33.6%로 신입생을 뽑는다. 최저 기준 완화, 학생부 강화 여파로 수시 30%, 정시 70%로 비율이 역전될 것으로 보는 전망도 나온다.
박백범 교육부 대학지원실장은 “정부의 의도는 아니지만 상위권 대학들이 정시모집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수능 시험일 최대 한 달 늦춘다=고교 교육이 3학년 2학기까지 정상적으로 운영되도록 수능 시험일을 늦춘다. 2015·2016학년도는 현행보다 1주일 뒤인 11월 둘째주에 시행하기로 했다. 2017학년도부터는 11월 마지막주 혹은 12월 첫째주에 보기로 했다.
또한 내년부터 수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을 1·2회로 나눠서 하던 것을 단일화해 9월에 진행한다. 다만 원서접수 기간을 늘리기로 했다. 정시모집 일정은 축소되고 학과 내 분할모집(가나·가다·나다·가나다)은 폐지해 혼선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2017학년도까지 최종 합격자 일괄 발표 시스템이 만들어질 계획이다. 대학들은 예비합격 순위를 작성해 공통 시스템에 제출하고, 수험생은 지원 학과의 선호 순위를 같은 시스템에 내게 된다. 자동적으로 학생의 선호 순위와 대학의 예비합격 순위가 조합돼 한번에 합격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대입전형 예고도 빨라진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하는 대입전형 기본사항은 2년6개월 전에 발표하기로 했다. 종전보다 1년 빨라졌다. 이를 구체화해 각 대학들이 발표하는 대입전형 시행계획은 종전 1년3개월에서 1년10개월로 7개월 앞당겨졌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