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수능 전면 개편] 계열간 ‘편식 학습’ 없애… 이공계열 학력 저하 우려
입력 2013-08-27 18:06 수정 2013-08-27 22:02
교육부는 계열 구분을 현행 골격대로 문과 이과로 유지하는 방안과 일부 조정하는 방안, 아예 없애는 방안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가장 논쟁이 일고 있는 방안은 문·이과 완전 융합안(표참조)이다.
◇완전 융합:“융합교육 가능” vs “이공계 학력저하”=완전 융합안은 융·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해 계열 구분을 없애는 방안이다. 기존 계열 구분이 문과생은 과학 과목, 이과생은 사회 과목을 아예 외면하는 ‘편식 학습’을 유발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계열 간 학습 장벽을 없애자는 측면에서 마련됐다. 완전 융합안이 통과될 경우 수험생들은 국어·수학·영어·사회(사회 및 지리교과 내용 요소 포함)·과학(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내용 요소 포함)을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이 방안은 문·이과 구분 없는 교육과정 취지에 부합하고, 융·복합적 인재 양성 측면에서 다양한 과목을 균형적으로 이수했는지를 평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수능에서 공통학업능력을, 학생부에서는 심화학습 과목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수학에서 미적분Ⅱ, 기하와 벡터 과목이 제외되기 때문에 이공계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약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특히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모든 과목을 공통적으로 학습해야 하기 때문에 문과생은 과학, 이과생은 사회과목을 응시해야 한다는 부담이 새로 생긴다.
◇구분 유지 or 일부 융합:“혼란 최소화” vs “제도개선 미흡”=‘문·이과 구분안’은 현행 수능과 거의 같은 체제다. 국어·영어는 단일시험으로 통합되고, 수학은 계열별로 출제범위를 구분해 가·나형으로 출제된다. 탐구영역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사회·과학·직업탐구로 구분한 뒤 영역 내에서 2과목을 선택하되,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만 추가된다.
구분안은 제도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수험생들과 학교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학생이 진로에 따라 선택한 계열의 과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대학 진학 뒤에도 전공과목 이수에 도움을 준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다만 특정 계열에 편중된 학습으로 융·복합적 인재 양성에 한계를 지니고 있고, 계열 구분 없는 교육과정 취지에 배치된다. 특히 국어·영어·탐구영역의 선택변수가 같은 상황에서 이과생만 어려운 수리 가형(2014학년도 수학 B형)을 공부해야 해 이공계 기피 현상을 부추긴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이과 구분은 유지하되 일부 과목을 교차 선택하도록 하는 ‘문·이과 일부 융합안’도 국어·영어는 단일시험으로 치러진다. 다만 수학의 경우 공통과목을 설정한 뒤 나머지 과목(미적분Ⅱ, 확률과 통계, 기하와 벡터) 중 1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탐구영역은 학생이 선호하는 중심영역에서 2과목, 기타 영역에서 1과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가령 사회탐구에서 사회문화, 한국지리를 보고 과학탐구에서 생명과학I을 선택하거나 과학탐구에서 화학I, 생명과학I을 보고 사회탐구에서 사회문화를 선택하는 식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 문·이과를 폐지하는 데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결국 문·이과 폐지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요즘 세계적인 추세는 융·복합적인 인재 양성으로, 박근혜정부가 강조하는 ‘창의인재’와도 부합한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문·이과 폐지가 옳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문·이과 폐지가 바람직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에 무게를 싣는 모양새다. 교육부 고위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봐도 일본과 대만 등 일부 국가에서만 문·이과를 채택하고 있을 뿐 다른 국가는 문·이과 자체가 없다”며 “(문·이과 구분이)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라면 적어도 이 시점에서는 공론화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