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수능 전면 개편] 수시 4개·정시 2개 이하로 대학별 전형방법 수 제한

입력 2013-08-27 18:02

교육부는 3000여개에 이르는 복잡한 대입전형을 단순화하기 위해 대학별 전형방법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수시는 4개, 정시는 2개 이하로 전형방법을 축소토록 대학 측에 요구하고 이를 어길 경우 재정적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전형방법 제한이란 A대학을 예로 들면 △수시에서 ‘학생부 30%+논술 70%’, ‘학생부 80%+논술 20%’, ‘학생부(교과)’ ‘실기 평가’ 등 4개, △정시에서 ‘학생부 30%+수능 70%’, ‘수능’ 등 2개로 모두 6개 방식의 전형요소 조합을 쓰도록 했다는 의미다. 그동안 대다수 대학들은 학생부·수능·논술·면접·서류·실기 등 전형요소들을 각각의 반영비율로 조합하고는 ‘알바트로스’, ‘다빈치’와 같은 고유명사를 붙여 대입전형 수를 늘려왔다. 대학들이 고유명사를 아무리 많이 만들어내더라도 전형방법이 제한되면 수험생 혼란은 최소화된다는 것이 교육부 주장이다.

A대학에 지원하려는 수험생을 예로 들어보자. 수험생 입장에서는 대학별로 붙여 놓은 전형명칭은 무시하고 단순화된 전형방법에 속한 학생부·논술·수능 등 전형요소에 집중하면 된다. A대학 외에도 만약 학생부에 강점이 있다면 전형명칭에 구애받지 않고 지원 가능한 학과를 어렵지 않게 추려낼 수 있다.

또 전형명칭 1개당 전형방법은 1개를 활용토록 했다. 미래인재 전형이라는 전형명칭을 운영하는 B대학을 예로 들어보자. 해당 전형은 보건계열·항공계열·인문계열·자연계열로 구성돼 있다. 종전에는 각각의 계열이 제각각의 방식으로 학생을 뽑을 수 있었다. 보건계열 ‘학생부 30%+수능 60%+면접 10%’, 항공계열 ‘학생부 40%+수능 50%+서류 10%’ 식이다. 또한 1개의 전형명칭에 우선선발·일반선발로 나누고 제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하기도 했었다.

이런 방안을 통해 3000여개가 넘는 대입전형 수는 실질적으로 3분의 1 이하로 줄어든다고 교육부는 예측하고 있다. 전국 대학을 200개로 보고 6개 전형방법을 적용했을 때 산술적으로 1200개가 되며 중복을 제외하면 1000개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부가 숫자 놀음에만 빠져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내신·수능·논술·구술면접 등 다양한 전형요소 모두를 신경써야 하는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학습부담은 그대로이고 사교육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도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