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年 50여억 지원 출연기관 2곳 방만 운영
입력 2013-08-26 18:44
전북도로부터 해마다 15억∼38억원의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회의 운영이 방만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는 이들 도 출연기관 2곳의 2010년 1월∼2013년 3월의 업무 전반을 감사한 결과, 용역계약과 인사관리, 예산집행 등에서 문제점을 적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소리문화의전당은 9억6848만원 상당의 용역입찰을 진행하며 자신의 홈페이지에만 공고해 많은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막았다.
추정가격 2000만원 이상의 공사와 용역(시설관리·청소·경비)등의 입찰공고를 할 때 지정정보처리장치(G2B)를 이용하도록 한 규정을 위반했다.
또 청소용역 등 18건(33억4300만원 상당)의 계약방법을 결정하면서 권한이 없는 예원예술대 법인이사회에서 수의계약토록 심의·의결한 후 수의계약으로 체결했다.
인사관리에서도 소속 직원의 정년이 57세인데도 무대팀 등 2명의 정년을 임의로 2년 연장했다. 이후 촉탁직 임용세칙을 마련해 이들이 59세로 퇴직한 뒤 재임용 했다. 이밖에 업무추진비를 쓰며 221건(1100만원 상당)을 공적으로 사용했다는 증빙자료 없이 불분명하게 집행했다.
소리축제조직위도 지나치게 수의계약에 의존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위는 경쟁입찰 또는 수의계약 체결 시 예정가격을 작성해야 하는데도 2010년 개막 기획공연작 ‘천년의 사랑 무대제작’ 등 2012년까지 3건(1억1600만원 상당)에 대해 업체의 견적가격으로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또 수의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관련 사항을 홈페이지에 공개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3년간 96건(29억800만원 상당)을 수의계약으로 체결하고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전북도는 이들 기관에 모두 14건의 시정과 주의조치를 주고 직원 5명에 대해 견책 등을 요구했다. 소리축제조직위에게는 133만원을 회수 조치했다.
한편 소리문화의전당은 2003년부터 학교법인 예술예술대에서 10년째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전북도에서 해마다 38억여원을 보조받고 있다.
2000년 조직된 소리축제조직위는 도에서 매년 15억원 안팎을 지원받는 상황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