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야권연대는 없다”… 민주당과 ‘재·보선’ 맞짱

입력 2013-08-26 18:14

10월 재·보궐선거를 둘러싼 민주당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 간 경쟁이 가시화되고 있다. 독자세력화를 피력해온 안 의원이 26일 “야권 연대 없이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먼저 승부수를 띄웠다.

안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전 지역은 아니더라도 적합한 분이 있으면 후보를 내려고 한다”면서 “유권자들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4·24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 때와 같이 하겠다”고 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어 “선거운동원으로 등록해 제 선거처럼 열심히 뛰겠다”는 각오도 밝혔다. 인재 영입에 대해선 “물은 어느 순간 끓는다”고 했다.

현재까지 10월 재보선이 확정된 지역은 경북 포항남·울릉과 새누리당 고희선 의원 별세로 인한 경기 화성갑 등 2곳이다. 인천 서·강화을과 계양을, 경기 수원을과 평택을, 충남 서산·태안, 전북 전주 완산을, 경북 구미갑 등도 다음달 30일까지 대법원에서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 선거가 치러진다.

안 의원 측은 수도권·호남에서는 ‘한 곳이라도 1등’, TK(대구·경북)에선 ‘2등 굳히기’ 전략을 짰다. 재보선 후 ‘실질적 제1야당’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뜻이다. 핵심 인사는 “포항, 구미는 후보군 영입을 거의 마쳤다”며 “수도권에서는 새 인물을 찾고 있지만 ‘안철수 세력’을 대변할 만한 금태섭 변호사 등의 출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전주가 확정되면 민주당과 더 치열한 판이 벌어질 수 있어 애초에 안 의원이 ‘단일화는 없다’고 못 박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도 최근 안 의원과 ‘안철수 신당’에 대한 지지율 하락세 등을 들어 “싸워볼만하다”는 분위기로 반전됐다.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의 연구소 이사장직 사임에 따른 안 의원의 리더십 문제가 부각된 데다 국정원 정국을 통해 무소속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게 자체 평가다. 이에 수원을에 손학규 상임고문을 비롯한 거물급을 등판시켜 ‘안풍(安風·안철수 바람)’을 차단하겠다는 복안이다.

한 초선 의원은 “당선이 아닌 2, 3등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데 벌써부터 안 의원 측은 2등론을 내밀고 있다. 과연 이게 새정치냐”면서 “재보선 가능 선거구가 새누리당 우세 지역이 많아 야권이 밀리는 게 분명하지만 민주당도 최선을 다하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