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목영준·김성호·김영란 등 거론… 靑, 후임 인선 본격 착수

입력 2013-08-26 18:04 수정 2013-08-27 01:12

양건 감사원장이 공식 사퇴하자 청와대가 후임 인선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청와대는 양 원장 사퇴가 급작스럽게 이뤄진 일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인물을 통해 공직사회 전반에 긴장감을 불어넣을 기회라고 판단하고 있다.

새 감사원장 인선은 김기춘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한 ‘2기 청와대’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김 실장은 이달 초 취임한 이후 ‘법에 의한 통치(Rule of Law)’를 유달리 강조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여전히 과거 관행을 버리지 못하는 공직사회를 향한 질타다. 따라서 김 실장은 ‘공공기관의 검찰’ 역할을 하는 감사원의 새 수장 임명에 각별히 공을 들일 것으로 관측된다.

일단 후임 감사원장은 박근혜정부의 국정철학을 공유하며 ‘이름’ 자체로 공무원 조직 전체에 경종을 울릴 수 있는 인물이 맡아야 한다는 게 청와대 의중이다.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을 맡았던 안대희 전 대법관과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김성호 전 법무부 장관,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등이 거론되는 이유다.

안 전 대법관은 새 정부 출범 때부터 감사원장 후보로 하마평에 오른 바 있다. 헌법재판소장, 대법원장 후보로도 거론돼온 목 전 재판관은 오래전부터 박 대통령과 개인적 인연을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장관은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 모임인 상청회(常靑會) 회장을 맡고 있고, 김 전 위원장은 이른바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금지 및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을 추진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감사원장이 지나치게 개성이 강해 조직을 통제불능 상태로 몰아가는 것에는 상당한 경계심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일각에선 ‘명망가’보다 감사원 본연의 정부 감시 기능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는 ‘실무형’ 인사가 낙점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친박근혜계 원로급 인사 발탁 가능성도 제기된다.

청와대는 새 감사원장 체제를 통해 박 대통령이 하반기 국정운영 화두로 제시한 ‘비정상의 정상화’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 출범 이후 6개월 넘게 미뤄져 왔던 공공기관장 인선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한 심사와 철저한 공모 절차를 거쳐 온 만큼 ‘이전 정부에서 임명됐던 인사들을 교체한다’는 명분을 살릴 수 있는 시기로 보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늦었다는 주변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청와대는 후보들에 대한 검증을 꼼꼼하게 해왔다”며 “조만간 공공기관장 인선이 완료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